【 앵커멘트 】
정부의 '정시 확대' 방침에 대학 당국과 학부모는 물론 교원단체도 각각 입장이 다릅니다.
사회부 교육팀 정수정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 질문1 】
정 기자, 먼저 대학에서는 자율성을 침해 당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이 높은 대학들이 대부분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인데, 정시 확대가 반가울까요?
【 기자 】
맞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대학에서는 이번 '정시 확대' 방침이 반갑지가 않습니다.
이미 지난해 대입 제도 공론화 결과, 2022학년도, 다시 말해 현재 고등학교 1학년들의 입시부터 최소 30% 이상 정시 비중을 둬야 하는데 이 비중을 더 키워야 하는 상황입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89개 대학교의 절반 이상이 "정시 비율을 30% 미만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대학에서도 사실, 수시라는 제도가 '좋은 학생을 선점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 질문1-2 】
사실 조국 전 장관 딸 의혹 같은 게 있었기에, 수시에서 제대로 된 학생을 못뽑는다는 의견도 있을 것 같은데, 수시가 좋은 학생을 선점하는 거라구요?
【 기자 】
네, 양면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수시가 꼭 시험을 잘 보는 학생이 아닌 다양한 능력을 가진 학생을 발굴한다는 취지이지만,
말씀하신 대로 과정이 주관적이고, 정보력과 경제력 싸움이 개입되다보니 애초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계속돼 왔습니다.
【 질문2 】
대학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이번 정책, 학부모들한테는 어떤가요?
2022학년도 입시면, 지금 고등학교 1학년이 대학을 가는 시점이지요?
【 기자 】
입시를 준비해야 할 학부모들은 상당히 혼란스러우면서도 정시 확대에 대한 의견은 반반이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사실, 이번 정책의 바탕에는 교육의 '공정성' 문제가 있습니다.
학생부종합전형 같은 "수시가 과정이 투명하지 않아 공정하지 않다", 차라리 수능이 공정하다고 보는 학부모들이 있으면서도, 수능 위주가 되면 사교육을 받을 수 밖에 없으니 결과적으로는 불공정하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 질문3 】
지난해까지만해도 공론화를 거쳐 결정된 사안이 다시 논쟁거리가 됐다는 게 문제인 것 같은데요?
【 기자 】
네, 맞습니다.
현장에서는 대통령의 한 마디에 정책이 오락가락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한국교총도 정시 확대에 일정부분 찬성하지만, 일방적인 정책이 혼란을 가져온다고 비판했습니다.
전교조와 일부 교육단체도 반대의견을 밝혔는데요. 교육단체 의견을 들어보시겠습니다.
▶ 인터뷰 :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국장
- "대통령의 이번 발언 혹은 정시 비중 상향 결정이 된다라면 이런 우려가 사교육 폭증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질문4 】
고등학교 자녀를 둔 부모도 뒤숭숭할 것 같은데요, 이제 앞으로 일정 어떻게 되는 건가요?
【 기자 】
다음 주부터 교육부 일정이 빡빡합니다.
일단, 오늘 유은혜 장관이 밝힌 것처럼 2025년 특목고가 일반고로 전환됩니다.
오는 수요일 고교서열화 및 일반고 역량강화 방안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또 11월 첫째주에는 학생부종합전형 실태조사 결과가 나올 예정이고요.
수능이 마무리된 뒤에는 교육부의 '대입공정성 강화방안'이 발표됩니다.
오늘 유은혜 부총리가 교육관계장관회의 사후브리핑을 하면서 기자단 질문을 딱 두 개 받았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았아서 질문을 많이 받기가 어렵다고 기자단 양해를 구했는데요.
구체적인 정시 비율 등은 앞으로 교육부의 발표를 통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앵커멘트 】
수능이 한 달도 남지 않았습니다.
교육은 국민 모두의 관심사라고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교육 현장의 목소리 앞으로도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정수정 기자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정부의 '정시 확대' 방침에 대학 당국과 학부모는 물론 교원단체도 각각 입장이 다릅니다.
사회부 교육팀 정수정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 질문1 】
정 기자, 먼저 대학에서는 자율성을 침해 당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이 높은 대학들이 대부분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인데, 정시 확대가 반가울까요?
【 기자 】
맞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대학에서는 이번 '정시 확대' 방침이 반갑지가 않습니다.
이미 지난해 대입 제도 공론화 결과, 2022학년도, 다시 말해 현재 고등학교 1학년들의 입시부터 최소 30% 이상 정시 비중을 둬야 하는데 이 비중을 더 키워야 하는 상황입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89개 대학교의 절반 이상이 "정시 비율을 30% 미만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대학에서도 사실, 수시라는 제도가 '좋은 학생을 선점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 질문1-2 】
사실 조국 전 장관 딸 의혹 같은 게 있었기에, 수시에서 제대로 된 학생을 못뽑는다는 의견도 있을 것 같은데, 수시가 좋은 학생을 선점하는 거라구요?
【 기자 】
네, 양면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수시가 꼭 시험을 잘 보는 학생이 아닌 다양한 능력을 가진 학생을 발굴한다는 취지이지만,
말씀하신 대로 과정이 주관적이고, 정보력과 경제력 싸움이 개입되다보니 애초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계속돼 왔습니다.
【 질문2 】
대학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이번 정책, 학부모들한테는 어떤가요?
2022학년도 입시면, 지금 고등학교 1학년이 대학을 가는 시점이지요?
【 기자 】
입시를 준비해야 할 학부모들은 상당히 혼란스러우면서도 정시 확대에 대한 의견은 반반이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사실, 이번 정책의 바탕에는 교육의 '공정성' 문제가 있습니다.
학생부종합전형 같은 "수시가 과정이 투명하지 않아 공정하지 않다", 차라리 수능이 공정하다고 보는 학부모들이 있으면서도, 수능 위주가 되면 사교육을 받을 수 밖에 없으니 결과적으로는 불공정하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 질문3 】
지난해까지만해도 공론화를 거쳐 결정된 사안이 다시 논쟁거리가 됐다는 게 문제인 것 같은데요?
【 기자 】
네, 맞습니다.
현장에서는 대통령의 한 마디에 정책이 오락가락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한국교총도 정시 확대에 일정부분 찬성하지만, 일방적인 정책이 혼란을 가져온다고 비판했습니다.
전교조와 일부 교육단체도 반대의견을 밝혔는데요. 교육단체 의견을 들어보시겠습니다.
▶ 인터뷰 :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국장
- "대통령의 이번 발언 혹은 정시 비중 상향 결정이 된다라면 이런 우려가 사교육 폭증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질문4 】
고등학교 자녀를 둔 부모도 뒤숭숭할 것 같은데요, 이제 앞으로 일정 어떻게 되는 건가요?
【 기자 】
다음 주부터 교육부 일정이 빡빡합니다.
일단, 오늘 유은혜 장관이 밝힌 것처럼 2025년 특목고가 일반고로 전환됩니다.
오는 수요일 고교서열화 및 일반고 역량강화 방안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또 11월 첫째주에는 학생부종합전형 실태조사 결과가 나올 예정이고요.
수능이 마무리된 뒤에는 교육부의 '대입공정성 강화방안'이 발표됩니다.
오늘 유은혜 부총리가 교육관계장관회의 사후브리핑을 하면서 기자단 질문을 딱 두 개 받았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았아서 질문을 많이 받기가 어렵다고 기자단 양해를 구했는데요.
구체적인 정시 비율 등은 앞으로 교육부의 발표를 통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앵커멘트 】
수능이 한 달도 남지 않았습니다.
교육은 국민 모두의 관심사라고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교육 현장의 목소리 앞으로도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정수정 기자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