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용인원 2만명 달성을 위해 '혁신도시 기업 입주 및 창업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오늘(27일) 2022년까지 혁신도시 입주기업을 1천개로 늘리고, 고용인원 2만명 달성을 목표로 ‘혁신도시 기업 입주 및 창업 활성화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8월 27일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 논의를 거쳐 혁신도시 기업입주와 관련한 부적절한 규제를 개선하고, 기업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 성장거점으로서 혁신도시에 기업 집적을 촉진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10개 혁신도시는 이전 대상 공공기관 113개 중 110개 기관이 이전을 완료하고 도시의 모습을 갖춰 가고 있지만 기업, 연구소가 부족하여 산업계, 학계, 연구 분야(산학연)의 생태계가 갖춰진 성장거점으로서의 역할은 미흡하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기업, 대학 등 집적을 위한 혁신도시 내 산학연을 위한 클러스터 용지 입주는 계획면적 대비 20%에 그쳤고 혁신도시 입주기업은 대부분 지역 내 중소기업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나며 고용규모는 1만 1천명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부산, 대구, 광주전남 등 대도시 인접 혁신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혁신도시는 입주기업 수가 현저히 적어 활성화가 시급하고, 창업기업 수도 20개에 불과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기업 입지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건축 및 기업활동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클러스터 부지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할 계획입니다.
기업의 입지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투자선도지구 및 특별건축구역 지정을 통해 효율적인 개발을 지원하고, 10월 예정된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을 통해 구체화될 혁신도시 특화 전략에 맞게 신사업 테스트 베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 지정도 추진합니다.
클러스터 용지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수요에 맞게 클러스터 분양 토지의 탄력적인 분할‧합병을 허용하고, 일부 미착공 클러스터 용지는 공공매입 후 장기저리 임대방식 공급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정부와 이전공공기관 중심으로 종합적인 기업 활동에 대한 지원 시스템도 구축합니다.
클러스터 입주기업에 대해서는 3년간 사무실 임차료·분양대금 이자의 최대 80%까지 매월 지원할 예정입니다.
2021년까지 혁신도시별로 문화‧체육‧교육‧여가시설 등 정주인프라와 스타트업 창업공간이 융합된 복합혁신센터도 건립합니다.
이전 공공기관,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산학연 주체들이 상호 협력해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클러스터에 대학 및 연구기관 입주를 촉진하기 위해 교지면적기준 등 대학 입지조건을 완화하고, 연구소의 판매시설 허용과 함께 강소형 연구개발특구 지정도 적극 추진하게 됩니다.
혁신도시 중심으로 이전공공기관·대학·기업·테크노파크 등 지역 내 혁신자산‧역량이 결집한 R&D(오픈랩)를 확산하고, 상호교류를 위한 협의회 운영 및 통합정보 네트워크 구축도 추진합니다.
국토교통부 손병석 혁신도시발전추진단장은 “‘22년까지 혁신도시 입주기업 1천개, 고용인원 2만명 달성을 목표로 혁신도시로의 기업 집적을 가속화할 계획이며, 혁신도시가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역과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혁신도시는 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계기로 지역의 성장 거점지역에 조성되는 미래형 도시로 이전된 공공기관과 지역 대학 연구소 산업체 지자체가 협력하는 클러스트 형태의 도시를 의미합니다.
정부는 전국에 10개의 혁신도시 건설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혁신도시는 총 10개로 부산·대구·광주/전남·울산·강원·충북·전북·경북·경남·제주가 포함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정부는 오늘(27일) 2022년까지 혁신도시 입주기업을 1천개로 늘리고, 고용인원 2만명 달성을 목표로 ‘혁신도시 기업 입주 및 창업 활성화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8월 27일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 논의를 거쳐 혁신도시 기업입주와 관련한 부적절한 규제를 개선하고, 기업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 성장거점으로서 혁신도시에 기업 집적을 촉진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10개 혁신도시는 이전 대상 공공기관 113개 중 110개 기관이 이전을 완료하고 도시의 모습을 갖춰 가고 있지만 기업, 연구소가 부족하여 산업계, 학계, 연구 분야(산학연)의 생태계가 갖춰진 성장거점으로서의 역할은 미흡하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기업, 대학 등 집적을 위한 혁신도시 내 산학연을 위한 클러스터 용지 입주는 계획면적 대비 20%에 그쳤고 혁신도시 입주기업은 대부분 지역 내 중소기업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나며 고용규모는 1만 1천명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부산, 대구, 광주전남 등 대도시 인접 혁신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혁신도시는 입주기업 수가 현저히 적어 활성화가 시급하고, 창업기업 수도 20개에 불과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기업 입지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건축 및 기업활동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클러스터 부지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할 계획입니다.
기업의 입지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투자선도지구 및 특별건축구역 지정을 통해 효율적인 개발을 지원하고, 10월 예정된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을 통해 구체화될 혁신도시 특화 전략에 맞게 신사업 테스트 베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 지정도 추진합니다.
클러스터 용지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수요에 맞게 클러스터 분양 토지의 탄력적인 분할‧합병을 허용하고, 일부 미착공 클러스터 용지는 공공매입 후 장기저리 임대방식 공급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정부와 이전공공기관 중심으로 종합적인 기업 활동에 대한 지원 시스템도 구축합니다.
클러스터 입주기업에 대해서는 3년간 사무실 임차료·분양대금 이자의 최대 80%까지 매월 지원할 예정입니다.
2021년까지 혁신도시별로 문화‧체육‧교육‧여가시설 등 정주인프라와 스타트업 창업공간이 융합된 복합혁신센터도 건립합니다.
이전 공공기관,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산학연 주체들이 상호 협력해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 대책도 마련했습니다.
클러스터에 대학 및 연구기관 입주를 촉진하기 위해 교지면적기준 등 대학 입지조건을 완화하고, 연구소의 판매시설 허용과 함께 강소형 연구개발특구 지정도 적극 추진하게 됩니다.
혁신도시 중심으로 이전공공기관·대학·기업·테크노파크 등 지역 내 혁신자산‧역량이 결집한 R&D(오픈랩)를 확산하고, 상호교류를 위한 협의회 운영 및 통합정보 네트워크 구축도 추진합니다.
국토교통부 손병석 혁신도시발전추진단장은 “‘22년까지 혁신도시 입주기업 1천개, 고용인원 2만명 달성을 목표로 혁신도시로의 기업 집적을 가속화할 계획이며, 혁신도시가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역과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혁신도시는 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계기로 지역의 성장 거점지역에 조성되는 미래형 도시로 이전된 공공기관과 지역 대학 연구소 산업체 지자체가 협력하는 클러스트 형태의 도시를 의미합니다.
정부는 전국에 10개의 혁신도시 건설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혁신도시는 총 10개로 부산·대구·광주/전남·울산·강원·충북·전북·경북·경남·제주가 포함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