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미루거나 기피하는 청년들이 늘면서 20대 후반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취업자 1인 가구의 임시·일용직 비율은 하락하는 추세지만, 전체 취업자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561만3000가구로 1년 전보다 17만9000가구(3.3%) 늘었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8.1%에서 28.7%로 상승했다.
취업자인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중장년층인 50∼64세가 26.5%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30∼39세(23.7%), 40∼49세(21.0%), 15∼29세(18.8%), 65세 이상(10.1%) 등이 뒤를 이었다.
교육 정도별로 보면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가 148만6000가구(43.3%)로 가장 많았다.
취업자 청년층 1인 가구는 지난해 주로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나면서 2016년 증가율(4.1%)의 두 배를 넘어섰다.
정부는 청년층 1인 가구의 증가세는 최근 청년들의 결혼 기피 현상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취업과 동시에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해 혼자 살림을 꾸리는 청년들이 늘어난 영향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시·일용직이 88만1000가구로 전년(86만2000가구)보다 1만9000가구 늘었다.
1인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2.8시간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었다. 전체 취업자 취업시간(43.3시간)보다는 0.5시간 적었다.
임금 수준별로 보면 200만∼300만원 미만이 33.3%로 가장 많았고 100만∼200만원 미만(29.2%), 300만∼400만원 미만(16.3%), 100만원 미만(11.0%), 400만원 이상(10.1%) 등 순이었다.
100만원 미만 업종은 주로 농림어업(48.6%)에서 많았고, 100만∼200만원 미만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40.7%),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1.0%) 등에서 다수 분포한 것으로 조사됐다.
단순노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중 임금이 100만∼200만원인 노동자 비중은 각각 45.3%, 44.6%, 39.4%로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