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금속활자, 개성 만월대서 출토…“국가가 주도해 만든 최고 수준의 활자”
고려 금속활자 고려 금속활자
남북이 지난 6개월간 개성 만월대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한 제7차 공동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금속활자가 출토돼 누리꾼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남북역사학자협의회는 30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15 개성 만월대 성과 브리핑’에서 “지난 6~11월 개성 만월대 서부건축군 7천㎡를 발굴조사한 결과 19동의 건물지와 3500여점의 유물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지난 14일 만월대 서부건축군 최남단 지역 신봉문터 서쪽 255m 지점에서 출토된 금속활자다.
개성 만월대에서는 1956년 금속활자가 발견된 이후 추가적인 출토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2007~2014년 조사에서는 짧은 발굴 기간 등의 한계로 찾아내지 못했다.
그러나 7차 조사에서는 발굴 기간이 6개월로 긴데다가 조사인력도 늘어나면서 금속활자 전담팀이 꾸려졌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의 표토 아래 20~30㎝ 지점에서 파낸 흙을 채로 쳐 거르는 작업을 꾸준히 시행한 결과 이번 활자를 찾게 됐다.
출토된 활자는 ‘女+專’(전일할 전)과 유사하게 보이나 우방 아래쪽 자획이 ‘方’(모 방)으로 보여 정확한 글자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활자의 크기는 가로 1.35㎝·세로 1.3㎝·높이 0.6㎝다. 글자 면을 제외한 몸체의 두께는 0.16㎝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시대 활자는 모두 2점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북한의 조선중앙역사박물관이 한점씩 보유하고 있다.
최 위원장은 “앞선 활자 2점과 비교할 때 이번 활자는 글자의 모양이 가장 정교하고 활자의 모양도 정사각형에 가까울 정도로 반듯해 주조 기술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증도가자나 직지는 불경 인쇄를 위해 사찰에서 만든 활자이지만, 이번에 발굴된 활자는 국가가 주도해 만든 최고 수준의 활자로 볼 수 있다”며 “북측은 고려대장경서체와 유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고려 금속활자는 구텐베르크 활자에 한 세기 앞서는 대단히 중요한 민족유산”이라며 “특히 개성 만월대 발굴조사 중에 금속활자가 출토된 것은 유물의 권위를 뒷받침하는 대단히 중요한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다만 성분분석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상태라는 점은 인정하면서 정확한 시기 추정과 추가적인 발굴 가능성 검토 등을 위한 후속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고려 금속활자 고려 금속활자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
고려 금속활자 고려 금속활자
남북이 지난 6개월간 개성 만월대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한 제7차 공동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금속활자가 출토돼 누리꾼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남북역사학자협의회는 30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15 개성 만월대 성과 브리핑’에서 “지난 6~11월 개성 만월대 서부건축군 7천㎡를 발굴조사한 결과 19동의 건물지와 3500여점의 유물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지난 14일 만월대 서부건축군 최남단 지역 신봉문터 서쪽 255m 지점에서 출토된 금속활자다.
개성 만월대에서는 1956년 금속활자가 발견된 이후 추가적인 출토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2007~2014년 조사에서는 짧은 발굴 기간 등의 한계로 찾아내지 못했다.
그러나 7차 조사에서는 발굴 기간이 6개월로 긴데다가 조사인력도 늘어나면서 금속활자 전담팀이 꾸려졌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의 표토 아래 20~30㎝ 지점에서 파낸 흙을 채로 쳐 거르는 작업을 꾸준히 시행한 결과 이번 활자를 찾게 됐다.
출토된 활자는 ‘女+專’(전일할 전)과 유사하게 보이나 우방 아래쪽 자획이 ‘方’(모 방)으로 보여 정확한 글자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활자의 크기는 가로 1.35㎝·세로 1.3㎝·높이 0.6㎝다. 글자 면을 제외한 몸체의 두께는 0.16㎝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시대 활자는 모두 2점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북한의 조선중앙역사박물관이 한점씩 보유하고 있다.
최 위원장은 “앞선 활자 2점과 비교할 때 이번 활자는 글자의 모양이 가장 정교하고 활자의 모양도 정사각형에 가까울 정도로 반듯해 주조 기술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증도가자나 직지는 불경 인쇄를 위해 사찰에서 만든 활자이지만, 이번에 발굴된 활자는 국가가 주도해 만든 최고 수준의 활자로 볼 수 있다”며 “북측은 고려대장경서체와 유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고려 금속활자는 구텐베르크 활자에 한 세기 앞서는 대단히 중요한 민족유산”이라며 “특히 개성 만월대 발굴조사 중에 금속활자가 출토된 것은 유물의 권위를 뒷받침하는 대단히 중요한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다만 성분분석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상태라는 점은 인정하면서 정확한 시기 추정과 추가적인 발굴 가능성 검토 등을 위한 후속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고려 금속활자 고려 금속활자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