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버스·화물차’.
한국에선 주요 교통법규 단속 대상이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이들이야말로 ‘선 지키기’ 문화의 전도사다.
단순히 운전자 개인의 도덕성 차이 때문은 아니다. 일본은 사업용 차량을 운행하는 회사들이 다양한 교육·평가 제도를 통해 소속 운전자들의 준법 운전을 유도하고 있다.
사업용 차량의 법규 위반을 강하게 예방·처벌하는 정부의 정책 기조와, 선을 지키지 않는 회사들에 대해 반감을 느끼는 국민성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다.
일본의 사업용 차량 회사인 한큐버스와 MK택시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한큐버스는 80년 역사를 자랑하는 일본 6위권 버스회사다. 현재 약 1000대 가량의 시내·고속·전세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2013년 기준 중대사고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고, 과실비율 50% 이상인 유책사고는 총 55건에 불과했다.
비밀은 철저한 내부 평가 제도에 있다. 한큐버스는 안전한 운행을 위해 3개월 단위로 안전운행 계획을 세우고 내부적으로 평가하는 PDCA(Plan Do Check Act)를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는 버스 주변 전방위 운행 기록을 수집할 수 있는 영상 카메라도 달아 소속 운전자들의 난폭운전을 억제하고 있다.
사고를 줄이기 위해 무리한 노선 설정도 없앴다. 대부분의 노선 왕복 시간은 2시간 안팎으로 설정함으로써 운전자 피로도를 줄였다. 지정된 운행시간에서 다소 연착되더라도 간단한 주의만 받으면 되기 때문에 기사들이 무리하게 난폭운전이나 신호위반을 감행할 필요가 없다. 연착보다 법규 위반이 더 곤란한 문제라고 여기는 사내 분위기 덕택이다.
교육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2개월에 한 번씩 회사 내 전직 경찰관 출신 안전담당 직원이 꾸준히 안전운전 강습회를 진행한다. 또 회사가 1년에 한 번씩 1인당 5만~10만원 가량의 비용을 직접 들여 ‘크래필’이라는 사업용 안전운전 교육장 연수를 다녀오도록 하고 있다.
한국에 친절 서비스의 대명사로 잘 알려진 교토의 택시회사 MK택시는 준법운전·안전운전으로도 유명하다. 전사적으로 준법운전을 강조해온 결과 1995년 553건에 달하던 사고건수는 지난해 115건까지 감소했다. 3년 전부터는 슬로건까지 ‘일본 제일의 안전한 택시를 목표로’라고 바꾸고 안전 관리에 매진하고 있다. 기존에 발생한 안전 사고를 상황별, 시간별, 계절별, 위치별, 연령별 심지어 기온별로도 분석해 안전 수칙을 마련한다.
내부적으로 도로별 속도규정 룰을 만들어 운행 기록을 체크해 시말서·벌점 등을 부과하는 점도 눈길을 끈다. 벌점이 7점을 넘으면 별도의 사내교육도 받아야 한다. 반면 무사고·무위반 운전자에게는 표창과 함께 3년째부터 3만엔의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이후로 해마다 1만엔씩 인센티브를 늘린다.
일본 정부 역시 사업용 차량 회사들에 대한 안전 관리에 힘을 쏟고 있다. 국가가 나서서 일반 사업자들의 안전관리 평가를 해야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2006년 3월 운수안전일괄법을 새롭게 도입해 그해 10월 곧바로 시행했다. 착각·실수를 하는 ‘휴먼에러’와 사고위험성을 알면서도 행동해 문제를 일으키는 ‘불안전행동’을 구분해 설비 개선과 교육으로 안전사고를 사전 예방하는 것이 핵심이다. 국토교통성과 관할 지자체가 매년 한 번씩 회사별로 실사를 진행해 교통안전 관리를 평가한다.
크라우치 코우이치 한큐버스 자동차사업부 안전관리과장은 “현재 일본은 안전이라는 테마가 효율보다 중시되는 풍토”라며 “2005년 JR후쿠지야마선 탈선 사고로 107명이 사망하면서 운수회사들에게 안전성을 요구하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