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기업 가운데 상당수가 올 상반기 인력난으로 수출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0일 공개한 '2015년 상반기 수출기업 인력수급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수출기업 697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23.5%(164개사)가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수출기업 4곳 가운데 1곳이 인력난을 겪고 있는 셈입니다.
특히 중소 수출기업의 인력 부족 응답 비중이 24.2%로 대기업(18.9%)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직종별 인력 수급 현황을 보면, 인력 부족 응답 기업 가운데 연구개발직 인력이 부족하다고 한 기업이 32.3%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직(29.7%), 기능직(23.6%), 무역직(20.7%), 국내영업 및 판매직(18.5%), 단순 노무직(16.8%), 일반 사무직(8.8%)이 뒤를 이었습니다.
지역별 인력난 호소 비중을 보면 대구경북이 32.1%로 가장 높았고, 대전충남(31.3%), 울산(28.3%), 경남(26.9%), 경기(24.7%), 서울(24.5%), 광주전남(23.6%) 순이었습니다.
산업별로는 석유제품 수출기업 중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이 66.7%로 가장 높았고, 컴퓨터(40.0%), 반도체(33.3%), 자동차(32.7%)가 뒤를 이었습니다.
인력난의 주된 원인은 임금, 복지, 직무능력에 대한 구인기업과 구직자 간의 불일치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인력 부족 응답 기업의 31.7%가 '사업체가 제시하는 임금, 복지수준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음'을 인력난의 원인으로 들었습니다.
기업들이 활용하는 인력난 해소 방안은 '임금임상 및 복지여건 개선'이 41.5%를 차지했다. '사내교육을 통한 자체 인력 양성'(17.8%)이나 '외국인력 활용 확대'(4.2%) 비중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밖에 올 상반기 영향을 미칠 노동시장 이슈로는 '통상임금 및 임금체계 개편'(41.3%)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은미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는 인력 현황을 토대로 기업이 생각하는 직종별 인력난 원인과 자체 해소 방안을 고려한 맞춤형 대응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0일 공개한 '2015년 상반기 수출기업 인력수급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수출기업 697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23.5%(164개사)가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수출기업 4곳 가운데 1곳이 인력난을 겪고 있는 셈입니다.
특히 중소 수출기업의 인력 부족 응답 비중이 24.2%로 대기업(18.9%)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직종별 인력 수급 현황을 보면, 인력 부족 응답 기업 가운데 연구개발직 인력이 부족하다고 한 기업이 32.3%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직(29.7%), 기능직(23.6%), 무역직(20.7%), 국내영업 및 판매직(18.5%), 단순 노무직(16.8%), 일반 사무직(8.8%)이 뒤를 이었습니다.
지역별 인력난 호소 비중을 보면 대구경북이 32.1%로 가장 높았고, 대전충남(31.3%), 울산(28.3%), 경남(26.9%), 경기(24.7%), 서울(24.5%), 광주전남(23.6%) 순이었습니다.
산업별로는 석유제품 수출기업 중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이 66.7%로 가장 높았고, 컴퓨터(40.0%), 반도체(33.3%), 자동차(32.7%)가 뒤를 이었습니다.
인력난의 주된 원인은 임금, 복지, 직무능력에 대한 구인기업과 구직자 간의 불일치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인력 부족 응답 기업의 31.7%가 '사업체가 제시하는 임금, 복지수준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음'을 인력난의 원인으로 들었습니다.
기업들이 활용하는 인력난 해소 방안은 '임금임상 및 복지여건 개선'이 41.5%를 차지했다. '사내교육을 통한 자체 인력 양성'(17.8%)이나 '외국인력 활용 확대'(4.2%) 비중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밖에 올 상반기 영향을 미칠 노동시장 이슈로는 '통상임금 및 임금체계 개편'(41.3%)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은미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는 인력 현황을 토대로 기업이 생각하는 직종별 인력난 원인과 자체 해소 방안을 고려한 맞춤형 대응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