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 알고보니 '중국 농악무'가 먼저? '깜짝'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
한국의 농악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됐습니다.
문화재청은 27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9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농악(Nongak, community band music, dance and rituals in the Republic of Korea)이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고 밝혔습니다.
농악은 지난달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임시소위원회인 심사보조기구로부터 만장일치로 '등재권고' 의견을 얻어 등재가 확실시된 바 있습니다.
위원회는 이번 등재가 무형문화유산으로서 농악의 가시성을 높이고 국내외 다양한 공동체간 대화 촉신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로써 한국은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강릉 단오제(2005년),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 당영등굿, 처용무(이상 2009년), 가곡, 대목장, 매사냥(2010년),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이상 2011년), 아리랑(2012년), 김장문화(2013년)에 이어 농악까지 17건의 인류무형유산 보유국이 됐습니다.
한편 농악은 농촌에서 집단노동이나 명절 때 등 흥을 돋우기 위해 연주되던 음악으로 풍물, 두레, 풍장, 굿이라고도 합니다.
김매기나 논매기, 모심기 등의 힘든 일을 할 때 일의 능률을 올리고 피로를 덜며 나아가 협동심을 불러일으키려는 데서 비롯됐습니다.
한편 중국은 지난 2009년 '중국 조선족 농악무(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를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시킨 바 있습니다.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
한국의 농악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됐습니다.
문화재청은 27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9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농악(Nongak, community band music, dance and rituals in the Republic of Korea)이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고 밝혔습니다.
농악은 지난달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임시소위원회인 심사보조기구로부터 만장일치로 '등재권고' 의견을 얻어 등재가 확실시된 바 있습니다.
위원회는 이번 등재가 무형문화유산으로서 농악의 가시성을 높이고 국내외 다양한 공동체간 대화 촉신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로써 한국은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강릉 단오제(2005년),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 당영등굿, 처용무(이상 2009년), 가곡, 대목장, 매사냥(2010년),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이상 2011년), 아리랑(2012년), 김장문화(2013년)에 이어 농악까지 17건의 인류무형유산 보유국이 됐습니다.
한편 농악은 농촌에서 집단노동이나 명절 때 등 흥을 돋우기 위해 연주되던 음악으로 풍물, 두레, 풍장, 굿이라고도 합니다.
김매기나 논매기, 모심기 등의 힘든 일을 할 때 일의 능률을 올리고 피로를 덜며 나아가 협동심을 불러일으키려는 데서 비롯됐습니다.
한편 중국은 지난 2009년 '중국 조선족 농악무(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를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시킨 바 있습니다.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