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내일(1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만나는 가운데, 당내 다양성 부족 비판에 “팬덤 정치에서 강성 당원인 ‘개딸’(이재명 대표 강성 지지층) 탓을 하는 건 잘못됐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오늘(12일) JTBC ‘오대영라이브’에 출연해 ‘당내 친문(친문재인)계가 주류일 때 비주류를 포용했는가’라는 질문에 “친문계 정치인들이 뼈 아픈 자기반성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다만 “저희(친문계)가 당을 운영할 때 오프라인에서까지 ‘대깨문’(문재인 대통령 강성 지지층)을 만나면 너무 비판받지 않겠느냐는 문제의식에 온라인 공간만 남겼는데, 그때 만든 시스템이 지금 민주당의 다양성 부족이라는 결과를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그는 “민주당이 다양성을 확보하느냐의 문제는 정권교체를 해낼 수 있느냐의 문제와 직결되는 문제”라며 “당한 분들을 포함해 더불어민주당에서 등을 돌린 분 중에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민주당과 함께하고 싶어 하는 분들이 돌아올 길이 있어야 한다. 문호가 열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의 포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손 내미는 대상은 열려 있어야 한다”면서도 “그런데 지금 ‘누구는 돼, 누구는 안돼’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과 함께하기는 어렵지 않겠나. 극단과 배제의 논리를 끝까지 주장하는 사람과 함께하기는 힘들지 않겠나”라고 했습니다.
이어 “이 전 대표도 ‘누가 되고, 누가 안 되고’ 이런 식의 비판보다는 지금은 어떻게 하면 이 어려운 상황을 함께 풀어갈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조기 대선 시 출마 여부를 묻는 말에 김 전 지사는 “지금은 출마하겠다는 이야기 자체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탄핵에 집중할 때”라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한편 김 전 지사는 13일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회에서 회동합니다. 비상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 5일 귀국하자마자 국회에서 약 20분간 대화를 나눈 바 있습니다.
이번 만남은 이 대표가 김 전 지사 측에 제안해 성사됐습니다. 당내 포용과 확장이 먼저라는 문재인 전 대통령 주문에 화답하면서 통합 행보에 시동을 건 것으로 해석됩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