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박근혜 대통령의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단연 ‘경제’였다. 국내외 경제 여건이 어려운 가운데 편성한 내년도 예산안의 방향을 설명하고, 법정시한 내 국회 처리를 요청하는 자리인 만큼 개혁을 통한 경제 회생과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민생을 중심으로 연설을 풀어나간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강조할 단어들을 수시로 반복하면서 국정 하반기 정부의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올 한 해가 ‘기초가 튼튼한 경제’, ‘역동적인 혁신경제’. ‘내수·수출 균형경제’로 거듭나도록 기반을 다지는 해였다면, 내년은 경제 개혁과 혁신이 한 층 심화되고 성과가 구체화되는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말한 대목이 이같은 방증이다.
박 대통령은 ‘경제’를 56회로 가장 많이 언급했다. 또 청년(32회), 개혁(31)회, 일자리(27회), 국민(26회), 혁신(20회) 단어 등을 비중있게 다루며 국정운영에 관한 의중을 내비쳤다. 이밖에 문화(18회), 예산(17회), 공공(11회) 등의 단어도 많이 등장했다. 모두 1만2200여자로 이뤄진 연설문은 200자 원고지 기준으로는 99쪽, A4 용지로는 13쪽에 달하는 분량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해 ‘경제’가 최다(59)인 것은 같지만, 당시는 세월호 정국이라 국민(31), 안전(19)이 도드라진 데 반면, 올해는 미래 세대에 대한 배려가 많아진 게 달라진 점이다. 올해는 작년(원고지 기준 86장)보다 연설문 분량도 늘어났다.
야당을 중심으로 한 진보 진영이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에 강력 반발하면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에 많은 비중을 할애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실제로 박 대통령은 연설 말미에 비교적 짧게 거론했다. 역사라는 단어는 총 11번 언급했고, 교과서는 4번, 교육은 2번 거론됐다. 예산안 제출에 즈음한 시정연설이라는 점을 고려해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쟁점대상이 돼서는 안된다”는 박 대통령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 부분을 언급하는 동안 박대통령은 어느 때보다 결연한 표정과 단호한 어조로 연설을 해 ‘강력한 의지’가 있음을 분명히 했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