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시중은행 정기 예금금리가 연 5%를 넘어섰습니다.
저금리 시대에 외면받던 예금이 다시 조명받고 있지만 최근 자금시장 경색으로 불안감도 커지고 있어 분산투자 등으로 내돈 지키기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이현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벌어진 자금 유치 경쟁에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연 5%를 돌파했습니다.
오늘(14일)자 1년 만기 기준 NH농협이 5.1%로 가장 높았고 우리은행이 4.98%, 국민은행이 4.96%,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4.85%로 근소한 차이를 두고 뒤를 이었습니다.
별다른 조건 없이도 1억 원을 예금하면 1년 이자로 약 5백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겁니다.
그동안 제1금융권에서 5% 넘는 금리를 제공한 건 BNK부산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 지방은행이나 외국계 은행 뿐이었고 그마저도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했습니다.
은행의 수신 금리가 오르면서 주식이나 가상화폐 등 위험자산에 몰렸던 돈줄이 다시 예금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자금조달을 위해 더 공격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은 10%가 넘는 특판상품을 내놓는 등 평균 5% 중반대의 고금리를 제공하는 상황.
다만 최근 자본시장 경색으로 금융권 부실 우려가 커져 신중한 투자가 요구됩니다.
전문가들은 "예금자보호법상 1개 은행당 5천만 원만 보장되는 만큼 분산투자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 인터뷰(☎) :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현재 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전체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투자의 기본적인 원칙인 분산 포트폴리오를 형성하는 것은 중요하고요."
만약 A은행에 6천만 원, B은행에 5천 5백만 원을 각각 예금했는데 두 은행 모두 파산한다면 각각 5천만 원씩만 보장받고 1,500만 원은 날아가는 겁니다.
일각에선 과도한 수신금리 경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예금이자 조달을 위해 은행이 대출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는 건데, 금융당국에서 서민 이자 부담을 줄일 방책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이현재입니다. [guswo1321@mbn.co.kr]
영상편집 : 이범성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시중은행 정기 예금금리가 연 5%를 넘어섰습니다.
저금리 시대에 외면받던 예금이 다시 조명받고 있지만 최근 자금시장 경색으로 불안감도 커지고 있어 분산투자 등으로 내돈 지키기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이현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벌어진 자금 유치 경쟁에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연 5%를 돌파했습니다.
오늘(14일)자 1년 만기 기준 NH농협이 5.1%로 가장 높았고 우리은행이 4.98%, 국민은행이 4.96%,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4.85%로 근소한 차이를 두고 뒤를 이었습니다.
별다른 조건 없이도 1억 원을 예금하면 1년 이자로 약 5백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겁니다.
그동안 제1금융권에서 5% 넘는 금리를 제공한 건 BNK부산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 지방은행이나 외국계 은행 뿐이었고 그마저도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했습니다.
은행의 수신 금리가 오르면서 주식이나 가상화폐 등 위험자산에 몰렸던 돈줄이 다시 예금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자금조달을 위해 더 공격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은 10%가 넘는 특판상품을 내놓는 등 평균 5% 중반대의 고금리를 제공하는 상황.
다만 최근 자본시장 경색으로 금융권 부실 우려가 커져 신중한 투자가 요구됩니다.
전문가들은 "예금자보호법상 1개 은행당 5천만 원만 보장되는 만큼 분산투자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 인터뷰(☎) :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현재 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전체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투자의 기본적인 원칙인 분산 포트폴리오를 형성하는 것은 중요하고요."
만약 A은행에 6천만 원, B은행에 5천 5백만 원을 각각 예금했는데 두 은행 모두 파산한다면 각각 5천만 원씩만 보장받고 1,500만 원은 날아가는 겁니다.
일각에선 과도한 수신금리 경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예금이자 조달을 위해 은행이 대출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는 건데, 금융당국에서 서민 이자 부담을 줄일 방책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이현재입니다. [guswo1321@mbn.co.kr]
영상편집 : 이범성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