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우리나라를 상대로 수출규제에 들어간 가운데 일각에서는 금융분야에 대한 보복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한일 학계와 경제전문가들은 일단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명분도 없을 뿐 더러 보복에 나선다해도 그 영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만기 연장 거부나 장기화에 따른 원화가치 영향 등에 대해 대비는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의 학계, 경제 전문가들은 일본이 금융 분야에 대한 보복에 나설 확률은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우선 단기적으로 일본 자금의 회수 동향이 없고 특별한 변화도 감지되지 않아서다.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상근자문위원은 "일본 자금의 회수에 관한 동향도 특별히 나타나지 않고 최근 한일 양국 간 계약이나 교류가 엎어진 사례도 특별히 없다"며 "한일 관계가 계속 나빠지지만 않는다면 금융 보복까지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일본 소재 대학 한국인 교수도 "지금으로서는 보복 조치가 금융 부문까지 확산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본이 금융분야 보복 조치에 나설수 있는 방법으로는 만기 연장 중단이 가장 유력하다.
이 위원은 "금융 보복에 나선다면 롤오버를 안 해주는 정도가 될 텐데 우리나라 시중은행에 대한 일본계 은행들의 여신이 그리 많지는 않다"며 "피해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처럼 일본계 은행이 롤오버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 내 일본의 여신 235억 달러는 국내 은행이 흡수할 수 있는 정도"라고 부연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한일 관계 경색이 장기화할 경우에는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니혼대 경제학부 권혁욱 교수는 "경상수지 적자와 지출이 늘어 원화 가치가 하락할 가능성이 생기면 한국에서 외국 자본이 이탈할 것이고, 이로인해 원화가 더 하락하는 악순환에 빠지기 시작할 때가 문제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내 금융권 관계자는 "일본 자금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이 그리 크지는 않을 수 있지만, 외국 기관이나 투자자들이 일본에 동조할지가 관건"이라며 "다만 이런 상황은 현재로서는 예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