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를 보유한 가구 10가구 중 1가구는 채무상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가구'로 파악됐다. 또 이들 가구에는 전체 부채가구가 보유한 총 금융부채의 20% 이상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말 기준 원리금 상환 부담이 높고 보유 자산이 적어 부실위험이 큰 것으로 분류하는 위험가구는 전체 부채가구의 11.6%(127만1000가구), 총 금융부채의 21.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소득의 4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고 가지고 있는 자산을 모두 팔아도 빚을 상환하기 어려운 '고위험가구'는 전체 부채가구의 3.1% 수준 34만6000가구였다. 이들 고위험가구는 총 금융부채기준으로 5.9%를 차지했다.
이 같은 결과는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했으면 표본 2만 가구를 선정해 부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해 산출한 것이다.
한은은 향후 대출금리 상승이 고위험가구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대출금리가 1%, 2% 오르면 고위험가구의 비중은 3.1%(2017년)에서 각각 3.5%, 4.2%로 증가하고 이에 따른 고위험가구의 금융부채 비중은 5.9%에서 각각 7.5%, 9.3%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출금리 상승 시 고위험가구는 소득 2~3분위에서, 금융부채는 소득 4~5분위에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향후 금리상승 시 소득 및 자산 대비 부채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가구들을 중심으로 고위험가구로의 편입이 늘어날 것"으로 평가하면서 "금융기관들의 양호한 손실흡수능력 등을 감안할 때 가계의 채무상환능력 약화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