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요금제가 규제개혁위원회 심사를 통과하면서 도입 여부는 국회의 손으로 넘어갔다. 보편요금제 도입을 반대하는 이동통신사는 최근 새로운 요금제를 속속 선보이고 있다. 여력이 닿는데까지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에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하고 있는 셈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에 이어 KT는 속도와 용량 제한이 없는 8만원대 LTE 요금제를 내놨다. 특히 속도제한이 있는 방식의 4만원대 LTE 무제한 요금제와 보편요금제 수준의 3만원대 'LTE 베이직' 요금제를 선보였다.
LTE 베이직의 경우 월 정액요금이 3만3000원이지만 선택약정할인(25% 요금할인) 혜택을 적용받으면 2만4750원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KT는 LTE 베이직 요금제와 보편요금제가 연관성이 없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럼에도 업계에서는 해당 요금제가 보편요금제 도입 우려가 있는 상황에 출시한 전략적 요금제라는 평가가 나온다. 지속적인 시장 가격 통제를 받기보다 자발적으로 요금은 낮추는 게 낫다고 결론을 내렸다는 분석이다. 더군다나 보편요금제 도입 후 알뜰폰 존립을 위해 정부가 망도매대가까지 낮출 방침이기에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는 해석이다.
보편요금제는 월 2만원대 요금에 데이터 1GB, 음성통화 200분, 문자메시지를 무제한 보낼 수 있는 형태다. SK텔레콤에 보편요금제 출시를 의무화하는데 이 경우 경쟁사들도 따라갈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다. 더 큰 문제는 지속적인 과도한 정부한 시장 개입이다. 보편요금제 도입을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2년에 한 번씩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통신협의체가 보편요금제의 데이터 제공량과 요금 수준을 정한다. 이동통신사가 불확실성을 안고 사업을 영위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외에도 이통사는 다각적으로 가계통신비 인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KT는 새 요금제인 '데이터 ON'에서 데이터쉐어링, 데이터테더링 제한을 대폭 완화했다. 1인 다기기 사용자에게 희소식이다. '데이터 ON 비디오'(월 6만9000원) 요금제의 경우 월 100GB를 제공하기에 이전보다 마음놓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됐다. 기존 6만원대 요금제는 데이터 기본 제공량 10GB에 한해서만 데이터쉐어링이 가능했다.
LG유플러스는 가족간 데이터 나눠쓰기 혜택을 크게 넓혔다. '속도 용량 걱정 없는 데이터 요금제'(월 8만8000원) 가입자가 가족구성원에게 월 최대 40GB까지 데이터를 선물할 수 있도록 했다. 가족 중 1명이 해당 요금제에 가입한다면 나머지 3인에게 월 13GB를 줄 수 있다는 얘기다. 올해 3월 기준 1인당 평균 LTE 데이터 사용량은 7242MB(7.07GB)에 불과하다.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