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암 생존율이 올라가는 등 보건의료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됐지만 당뇨 등 만성질환 관리는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7 한눈에 보는 보건(Health at a Glance)'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급성심근경색증과 뇌졸중 등 급성기 진료수준이 지속해서 높아졌다.
2015년 우리나라 45세 이상 허혈성 뇌졸중 입원환자의 30일 치명률(입원 시점 기준으로 30일내 사망한 입원환자 비율)은 3.9%로 OECD 평균(8.2%)보다 낮아 우수했다. 급성심근경색증 30일 치명률도 계속 감소해 2015년 8.1%로 줄어들면서 OECD 평균(7.5%)에 근접했다.
5년 순생존율(Net Survival; 암 환자가 진단 후 5년간 생존할 누적확률)로 살펴본 한국의 암 진료수준은 대장암과 유방암이 각각 71.6%, 86.3%로 OECD 평균(63.0%, 85.0%)보다 높았다. 특히 직장암의 순생존율은 71.0%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성과를 보였다.
우리나라 의료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고자 '환자의 외래 진료 경험'을 조사한 결과, 진료·치료 결정 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비율은 81.8%, 의사의 진료시간이 충분했다고 느끼는 비율은 77.9%로 나타났다.
의사의 설명을 쉽게 이해한 비율은 87.1%, 궁금한 사항이나 걱정을 말할 기회를 받은 비율은 81.7%로 조사됐다.
하지만 만성질환 관리성과는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왔다. 1차의료 영역에서 관리를 잘하면 입원을 예방할 수 있는 만성질환 중 천식과 만성폐색성폐질환, 당뇨병의 입원율은 인구 10만명당 각각 94.5명, 214.2명, 281.0명으로 모두 OECD 평균보다 높았다. OECD 평균은 천식 46.7명, 만성폐색성폐질환 189.8명, 당뇨병 137.2명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들 질환으로 인한 입원율이 높다는 것은 1차의료 단계의 관리 소홀로 질병이 악화됐거나 입원 병상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했다는 의미로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항생제 사용량은 많이 줄고 있지만, OECD 평균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항생제 사용량은 1000명 당 24.3 DDD(Defined Daily Dose, 의약품 규정 1일 사용량)로 하루 동안 1000명중 24.3명이 항생제를 처방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평균은 20.6 DDD였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 의료비 지출 규모는 7.7%로 OECD 평균(9.0%)보다 적었다. OECD 회원국의 물가수준을 반영한 환율로 계산한 우리나라 국민 1인당 경상 의료비는 2729달러로 OECD 평균(4003 달러)보다 낮았다.
[김혜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