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과 류큐열도 남부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맹독 바다뱀이 최근 한반도에도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지구 온난화 영향으로 보고 있다. 박대식 강원대 과학교육학부 교수팀은 남해와 제주 바다에서 잡은 바다뱀 12마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바다뱀은 코브라과에 속하는 맹독성 생물이다. 바다에 살면서 맹독을 품고 있어 사람이 물리면 죽을 수도 있다. 머리와 몸통은 육지에 사는 뱀과 유사하지만 꼬리 모양이 '노'처럼 넓게 생겼다. 박 교수는 "기후변화로 해수 온도가 상승하며 주로 열대·아열대에 사는 바다뱀이 러시아 근해에서도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며 "한반도 해역으로 유입되는 바다뱀이 늘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로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박 교수팀은 국내 서식 바다뱀의 생태를 연구하기 위해 2014년부터 포획에 나섰다. 2015년 4월부터는 남해안과 제주 주요 항구에 바다뱀을 찾는다는 포스터를 붙이고 전단을 돌리며 제보를 받아 작년 10월까지 어민들에게 총 12마리의 바다뱀을 입수했다. 이들은 모두 갈색 줄무늬가 있는 넓은띠큰바다뱀이었다. 주로 필리핀, 일본 남부의 오키나와, 대만 인근에서 발견되며 한반도에서는 발견됐다는 기록이 없었다. 유입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진은 뱀의 특정 유전자(미토콘드리아 Cytb 유전자)의 서열을 분석했다.
제주 우도·덕돌·강정·서귀포·마라도와 전남 여수에서 발견된 바다뱀 6마리는 류큐열도 전역에 걸쳐서 나타나는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었다. 부산 기장(고리)과 제주 애월·모슬포·강정에서 발견된 바다뱀 4마리는 류큐열도 남부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전자형을, 부산 기장(일광)·제주 위미에서 발견된 2마리는 대만 해역에서만 나타나는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었다. 박 교수는 "이는 바다뱀이 주로 대만과 류큐열도 남부에서 타이완난류나 쿠로시오해류를 타고 한반도 해역으로 들어왔음을 시사한다"며 "생물 다양성과 해양생태계의 변화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맹독성 생물이므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서도 기초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교육부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결과는 온라인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23일자에 실렸다. 연구진은 이 논문을 박사학위 프로젝트로 바다뱀 연구를 수행하다가 숨진 이헌주 학생에게 헌정한다고 밝혔다. 이 씨는 2015년 8월 제주에서 바다뱀을 찾던 중 교통사고로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