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여명의 연구원이 갤럭시노트7 20만대, 배터리 3만개로 대규모 충·방전 시험을 해 (배터리) 소손 현상을 재현했습니다"
23일 고동진 삼성전자 IM(IT·모바일)부문 무선사업부장 사장은 서울 서초사옥에서 열린 '갤럭시노트7 발화원인 발표 기자회견'에서 "지난 수개월간 모든 역량을 동원해 원점에서부터 전방위적인 분석을 진행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 시장에서 발생한 소손 현상을 실험실에서 재현하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면서 "대규모 재현 테스트 설비를 구축해 사용자 조건과 유사한 환경 하에서 충반전 테스트를 통해 소손 현상을 재현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발화원인 규명을 위해 자체적인 조사 외에도 외부 3개 기관에 독립적인 조사를 의뢰했다. 유엘(UL), 엑스포넌트(Exponent), TUV 라이란드다.
배터리 발화원인은 갤럭시노트7이 채용한 삼성SDI 배터리와 중국 ALT 배터리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UL은 A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위쪽 코너에 눌림 현상과 얇은 분리막으로 배터리 내부 단락을 발생시켜 소손을 유발했다고 분석했다. B배터리의 경우에는 비정상 융착돌기, 절연테이프 미부착, 얇은 분리막의 조합이배터리 내부에서 단락을 발생시켰다고 설명했다.
발화가 배터리 외 제품 설계 또는 소프트웨어 문제로 발생했다는 추정에 대해서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외부기관 모두 관련성이 없다고 입을 모았다.
UL은 제품 레벨에서 갤럭시노트7 배터리 소손과 연관된 물제를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엑스포넌트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석에서 소손과 관련 있는 요인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TUV 라이란드는 폰 제조 공정과 배터리 물류 시스템을 살펴본 결과 배터리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발화 사고를 계기로 제품 안전을 한층 더 강화했다. 핵심 부품에 대한 설계와 검증, 공정관리 등을 전담하는 '부품 전문팀'을 구성했다. 제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차기 스마트폰에 배터리 실장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 소비자가 제품을 떨어뜨릴 경우 물리적인 충격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배터리에 대한 안전 설계 기준도 강화하고 배터리 충전 온도·속도·전류 관련 소프트웨어 보호 알고리즘도 개선했다.
아울러 학계와 연구기관의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구성해 제품의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했다. 삼성전자는 초대 자문단 구성원으로 클레어 그레이 캠브리지대학교 박사, 거브랜드시더 버클리대학교 박사, 이 추이 스탠포드대학교 박사, 토루 아마즈쓰미 아마즈 테크컨설팅 최고경영자(CEO) 등을 위촉했다.
고 사장은 "그동안 소비자 여러분들과 통신사업자, 유통거래선, 그리고 모든 협력사 관계자분들게 불편과 심려를 끼쳐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품질 최우선 경영 체제를 강화해 제품 안정성에 있어 새로운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디짙러뉴스국 박진형 기자/ 이경서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