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형 빚 급증, 저축은행 7월 대출 잔액 16조…사상 최대치 기록
최근 저소득층 가구가 돈을 많이 빌리고 있음을 엿보게 하는 통계가 잇따라 나와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전국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6조6천920억원으로 전월보다 5천924억원 늘었습니다.
월간 증가액이 6월(2천349억원)의 2.5배 수준으로 확대됐고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7년 12월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종전에는 작년 10월 5천117억원이 최대 증가 폭이었습니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올해 1∼7월 2조9천984억원 늘면서 작년 말과 비교한 증가율은 21.9%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을 포함한 전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율 8.5%를 훨씬 웃도는 수치입니다.
특히 저축은행 가계대출의 서울 쏠림 현상이 심합니다.
가계대출 잔액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10조3천235억원으로 전체의 61.8%를 차지했습니다.
올해 증가액 중 서울지역 비중은 2조2천311억원으로 전체의 74.4%나 됐습니다.
저금리 장기화 등으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진 상황에서 저축은행들이 서울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로 풀이됩니다.
문제는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은행을 이용하기 어려운 저소득층이나 저신용층이 생계를 위해 빌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한은 통계를 보면 지난 7월 저축은행의 평균 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1.20%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2.96%)의 약 4배 수준입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최근 저축은행 가계대출을 살펴보면 대부분 생계형 대출이고 개인사업을 위한 대출이 일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습니다.
은행보다 훨씬 높은 이자를 감당하면서 돈을 빌려야 할 정도로 생활이 어려운 가계가 많아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경기 부진 등으로 실질적인 가계 소득이 정체된 현실이 반영돼 있습니다.
또 올해 은행권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으로 대출수요가 2금융권으로 이동한 '풍선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달에는 은행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5천억원 늘어났습니다.
이는 올해 1∼8월 월간 평균 증가액(약 9천500억원)의 2.6배 수준입니다.
기타대출 잔액의 증가 폭은 2010년 5월(2조7천억원) 이후 최대치이고 사상 두번째로 큽니다.
2010년 5월에는 삼성생명 공모주 청약이라는 특별한 상황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8월 급증은 이례적인 현상으로 평가됩니다.
한은은 여름 휴가철 자금수요와 더불어 주거비와 생계비를 위한 대출 증가를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이처럼 생계형 대출이 늘어나는 것은 가계부채의 질이 나빠지는 조짐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금융당국이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심사를 강화하면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신용대출이나 2금융권 대출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커진 것입니다.
아직 가계부채 증가로 인한 연체율 상승 등 직접적인 위험 신호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6.4%로 작년 말보다 0.4% 포인트 떨어졌고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도 0.31%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 경기 악화, 부동산 가격 하락 등 충격이 발생할 경우 자영업자,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최근 저소득층 가구가 돈을 많이 빌리고 있음을 엿보게 하는 통계가 잇따라 나와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전국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6조6천920억원으로 전월보다 5천924억원 늘었습니다.
월간 증가액이 6월(2천349억원)의 2.5배 수준으로 확대됐고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7년 12월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종전에는 작년 10월 5천117억원이 최대 증가 폭이었습니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올해 1∼7월 2조9천984억원 늘면서 작년 말과 비교한 증가율은 21.9%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을 포함한 전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율 8.5%를 훨씬 웃도는 수치입니다.
특히 저축은행 가계대출의 서울 쏠림 현상이 심합니다.
가계대출 잔액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10조3천235억원으로 전체의 61.8%를 차지했습니다.
올해 증가액 중 서울지역 비중은 2조2천311억원으로 전체의 74.4%나 됐습니다.
저금리 장기화 등으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진 상황에서 저축은행들이 서울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로 풀이됩니다.
문제는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은행을 이용하기 어려운 저소득층이나 저신용층이 생계를 위해 빌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한은 통계를 보면 지난 7월 저축은행의 평균 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1.20%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2.96%)의 약 4배 수준입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최근 저축은행 가계대출을 살펴보면 대부분 생계형 대출이고 개인사업을 위한 대출이 일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습니다.
은행보다 훨씬 높은 이자를 감당하면서 돈을 빌려야 할 정도로 생활이 어려운 가계가 많아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경기 부진 등으로 실질적인 가계 소득이 정체된 현실이 반영돼 있습니다.
또 올해 은행권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으로 대출수요가 2금융권으로 이동한 '풍선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달에는 은행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5천억원 늘어났습니다.
이는 올해 1∼8월 월간 평균 증가액(약 9천500억원)의 2.6배 수준입니다.
기타대출 잔액의 증가 폭은 2010년 5월(2조7천억원) 이후 최대치이고 사상 두번째로 큽니다.
2010년 5월에는 삼성생명 공모주 청약이라는 특별한 상황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8월 급증은 이례적인 현상으로 평가됩니다.
한은은 여름 휴가철 자금수요와 더불어 주거비와 생계비를 위한 대출 증가를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이처럼 생계형 대출이 늘어나는 것은 가계부채의 질이 나빠지는 조짐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금융당국이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심사를 강화하면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신용대출이나 2금융권 대출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커진 것입니다.
아직 가계부채 증가로 인한 연체율 상승 등 직접적인 위험 신호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6.4%로 작년 말보다 0.4% 포인트 떨어졌고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도 0.31%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 경기 악화, 부동산 가격 하락 등 충격이 발생할 경우 자영업자,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