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업체들의 수주잔량이 12년 만에 바닥을 찍었다.
중국과 일본 조선사들은 자국 선사 발주로 수주가뭄을 버티고 있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못한 국내 조선사들은 3개국 중 수주잔량이 가장 빠르게 줄고 있는 것이다.
22일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가 발간한 ‘세계 조선소 모니터’ 7월호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한국 조선업계의 수주잔량은 2510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집계됐다.
CGT는 선박을 건조할 때 공사량을 같은 지표로 평가하기 위해 선박 톤수에 선종별로 각각 다른 계수를 곱한 값을 말한다.
한국의 지난달 말 기준 수주잔량 2519만CGT는 2417만CGT를 기록한 지난 2004년 1월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한국은 세계 수주잔량 중 25%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수주잔량은 지난해보다 12% 줄었지만 한국의 수주잔량은 같은 기간 20% 감소했다. 반면 지난달 말 중국과 일본의 수주잔량은 각각 3770만CGT와 2210만CGT로 전년 대비 11%, 14% 감소해 한국보다는 상황이 나았다. 세계 수주잔량 점유율은 중국 37%, 일본 22%이다.
올해 상반기 세계 조선시장에서 새롭게 발주된 물량은 630만CGT(224척)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6% 감소했다. 한국은 이중 80만CGT(27척), 전체 13%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전체 신규 발주 물량 중 37%를 수주했다.
중국과 일본은 자국 공기업과 선사들의 발주에 힘입어 한국보다 수주물량을 더 많이 가져갔다. 중국은 올해 상반기 240만CGT를 수주했다. 전체 발주량의 38%에 달한다. 클락슨은 중국 정부 지원을 받은 공기업이 발레막스(Valemax)선 30척을 발주한 게 중국 조선업계에 큰 도움이 됐다고 분석했다. 일본 역시 올해 신규 수주 물량 중 상당수가 자국 선사가 발주한 것이다.
같은 기간 한국 조선사가 신규 수주한 대형 프로젝트는 SK E&S가 현대중공업에 발주한 액화천연가스(LNG)선 2척 정도다.
올해 상반기 국내 조선사가 인도한 선박이 많은 것도 수주잔량을 감소시키는 데 한 몫 했다. 한국 조선사들은 올해 상반기 전 세계 인도량의 35%에 달하는 650만CGT를 인도했다. 중국과 일본은 같은 기간 각각 240만CGT, 80만CGT를 인도하는 데 그쳤다.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