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대응 속도조절 ‘눈치보기 격화’
트럼프 내년 청정에너지 예산 삭감
‘2050년 탄소중립’ 실현 미지수
‘트럼프의 시간’ 이후 대비도 필요
중국, 기후리더로 부상할지 주목
트럼프 내년 청정에너지 예산 삭감
‘2050년 탄소중립’ 실현 미지수
‘트럼프의 시간’ 이후 대비도 필요
중국, 기후리더로 부상할지 주목
도널드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1월 20일 취임한 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뉴스를 쏟아내며, 전 세계 질서를 뒤흔들고 있다.
트럼프는 세계 70여개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 해방의 날”이라고 명명했다. 관세폭탄 배경은 달러화 가치 하락과 무역수지 개선, 이를 통한 제조업 강국으로의 부활로 요약된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 만드는 것이다.
그의 머리엔 ‘미국의, 미국에 의한, 미국을 위한’(of the America, by the America, for the America) 생각만 가득차 보인다.
그 밑바탕에는 에너지가 있다. 트럼프는 취임 당일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미국에 풍부하게 매장돼 있는 석유·천연가스를 충분히 생산해 에너지 가격을 낮추고, 다시 제조업 강국이 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2기 에너지 정책의 핵심은 ‘무조건 값싼 석유·천연가스’를 추구하는 게 아니라 세계 시장에서 미국이 주도권을 쥘 수 있는 균형점을 찾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트럼프는 국제유가를 배럴당 60~70달러 수준으로 고정시키고 싶어 할지 모른다. 그의 고액 기부자들이 석유·천연가스 개발기업들임을 고려하면 지나친 저유가는 결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있다.
독일에서 태어나 미국 국무부 장관을 지낸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는 “미국에겐 영원한 적도 없다. 오직 이익만 있을 뿐이다”고 말했다. 트럼프 2기 정부(2.0 시대)를 이보다 더 잘 표현한 문장이 있을까? 트럼프 대통령은 이 말에 가장 충실한 사람 중 한명이다.
저자들은 트럼프 2기 정부를 맞아, 전 세계 에너지 정책이 어디로 향할 지, 그 과정에서 한국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 지를 집중 조명한다. 저자들의 해법은 한마디로 에너지안보, 탄소중립, 성장이라는 삼각편대다.
첫째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세계 최고 수준인 93.6%에 달한다. 따라서 에너지안보는 절대적으로 지켜져야 할 가치다. 둘째 파리협정 이후 2020년 팬데믹을 거치면서 탄소중립 과제가 급부상했다. 세계사의 도도한 흐름을 외면하고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는 없다. 에너지전환을 향해 나아가되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실용적인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셋째 2025년 시작된 트럼프 2기정부는 우리에게 위기 속 성장이라는 과제도 던져주었다. 트럼프에 대한 피로감으로 세계가 어수선할 때 우리나라는 '고탄소시대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저탄소시대 선도자'(First Mover)로 나아갈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
저자 소개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로, 전기위원회 위원,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및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이사, 한국에너지학회 및 한국혁신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제9차 및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 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국제 및 국내 저명 학술지에 각각 252편 및 28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스탠포드 대학교 및 엘스비어 출판사가 선정한 세
계 상위 2% 학자에 2023년, 2024년 연속으로 이름을 올렸는데, 에너지경제 분야 학자로는 국내에서 유일하다. Research.com이 선정한 2024년 한국의 경제학 및 재정학 분야 최상위
학자 4위를 기록했다.
*이재호
(주)내일신문 기자이며, 30여년 기자생활 중 20년 이상 에너지와 산업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에너지재단 이사와 (사)밥일꿈 경영연구원 이사로도 활동 중이다.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
책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에서 박사과정을 공부하고 있다. 2010년 지식경제부장관 표창,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저서로 <탄소중립 골든타임> <에너지대전환 2050, 공저> <에너지정치경제학> 등이 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