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사업이 아닌 산업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빅히트가 음악산업 패러다임을 바꾸는 주체가 되고자 한다."
방탄소년단(BTS)을 키운 방시혁 대표가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최고의 연예기획사를 넘어 국내외 음악산업을 바꿔나갈 '게임 체인저'로 도약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21일 서울 강남구 섬유센터에서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빅히트가 꿈꾸는 것은 음악산업의 혁신"이라고 강조하면서 "오늘 하려는 얘기는 단순히 매출이나 인수·합병에 그치지 않는다. 빅히트가 그리는 더 큰 그림에 대해 보여드리는 자리"라고 말했다.
"혁신은 이미 존재하거나 존재하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은 고객의 니즈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빅히트는 음악산업의 부가가치가 생성되고 확장하는 과정에서 시장 규모를 키우고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구성원과 산업 종사자 삶을 향상시키려고 한다."
방 대표가 벤치마킹하는 분야는 기술 발전을 통해 급성장한 게임산업이다. 그는 "한국인이 하루에 게임과 음악을 소비하는 시간은 비슷하다. 그렇지만 K게임과 K팝의 글로벌 시장 규모를 비교하면 K팝 위상은 한참 떨어지는 수준"이라며 "아직까지 음악산업 가치와 가능성을 누구도 확실히 보여주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저희가 바로 그 혁신을 이뤄내고 패러다임을 바꾸는 주체가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상품 구매 방식을 다양화해 고객 경험에 혁신을 이뤄내고 유통구조를 확장해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창출할 예정이다.
방탄소년단을 업은 빅히트는 폭발적인 성장을 지속해왔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이미 2001억원을 찍으며 지난해 연간 매출(2142억원)과 맞먹는 수준을 달성했다. 상반기 영업이익도 391억원으로 지난해 641억원 대비 3분의 2 수준에 근접했다. SM(477억원), JYP(287억원), YG(95억원) 등 엔터 3사의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과 견줘봤을 때도 밀리지 않는 수치다. 지난 6월 현대경제연구원은 빅히트의 기업 가치가 최대 2조2800억원에 달한다는 보고서를 내놨다.
빅히트는 아이돌 제작을 넘어 출판, 게임, 방송 제작, 티켓 판매까지 아우르는 메가 엔터테인먼트사로 진화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을 통해 벌어들인 자금으로 진행 중인 광폭 인수·합병 행보는 이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다. 지난해 인수한 플랫폼 기업 비엔엑스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와 커머스 플랫폼 '위플리'를 만들었다. 지난 6월 론칭한 위버스 회원 수는 총 200만명으로 지난 6년간 방탄소년단 기존 팬 카페에 모인 150만명을 훌쩍 넘어선다.
서우석 비엔엑스 대표는 "위버스와 위플리만 켜면 모든 게 가능한 '음악 산업계 원스톱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밖에도 빅히트는 출판사 비오리진, 걸그룹 '여자친구' 소속사 쏘스뮤직, 음악게임사 수퍼브 등 다양한 기업을 자회사로 편입했으며, 현재도 여러 분야에서 인수·합병 후보군을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엔터업계에서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또 하나의 족적을 남길 수 있을지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쏠리고 있다. 이제까지 수직 계열화를 시도한 연예기획사 중 성공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는 "방탄소년단이라는 강력한 지식재산권(IP)이나 캐릭터를 통해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건 시도해볼 만한 일이다. 지금까지 빅히트 사업 확장을 보면 음악플랫폼, 게임, 드라마 제작 등 본업과 관련된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어 긍정적"이라면서도 "빅히트는 아직까지 기업 상장을 하진 않았지만 SM이나 YG처럼 주가를 견인하기 위해 이벤트를 만들고 무리하게 몸집을 불리는 실수를 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고보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방탄소년단(BTS)을 키운 방시혁 대표가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최고의 연예기획사를 넘어 국내외 음악산업을 바꿔나갈 '게임 체인저'로 도약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21일 서울 강남구 섬유센터에서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빅히트가 꿈꾸는 것은 음악산업의 혁신"이라고 강조하면서 "오늘 하려는 얘기는 단순히 매출이나 인수·합병에 그치지 않는다. 빅히트가 그리는 더 큰 그림에 대해 보여드리는 자리"라고 말했다.
"혁신은 이미 존재하거나 존재하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은 고객의 니즈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빅히트는 음악산업의 부가가치가 생성되고 확장하는 과정에서 시장 규모를 키우고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구성원과 산업 종사자 삶을 향상시키려고 한다."
방 대표가 벤치마킹하는 분야는 기술 발전을 통해 급성장한 게임산업이다. 그는 "한국인이 하루에 게임과 음악을 소비하는 시간은 비슷하다. 그렇지만 K게임과 K팝의 글로벌 시장 규모를 비교하면 K팝 위상은 한참 떨어지는 수준"이라며 "아직까지 음악산업 가치와 가능성을 누구도 확실히 보여주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저희가 바로 그 혁신을 이뤄내고 패러다임을 바꾸는 주체가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상품 구매 방식을 다양화해 고객 경험에 혁신을 이뤄내고 유통구조를 확장해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창출할 예정이다.
방탄소년단을 업은 빅히트는 폭발적인 성장을 지속해왔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이미 2001억원을 찍으며 지난해 연간 매출(2142억원)과 맞먹는 수준을 달성했다. 상반기 영업이익도 391억원으로 지난해 641억원 대비 3분의 2 수준에 근접했다. SM(477억원), JYP(287억원), YG(95억원) 등 엔터 3사의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과 견줘봤을 때도 밀리지 않는 수치다. 지난 6월 현대경제연구원은 빅히트의 기업 가치가 최대 2조2800억원에 달한다는 보고서를 내놨다.
빅히트는 아이돌 제작을 넘어 출판, 게임, 방송 제작, 티켓 판매까지 아우르는 메가 엔터테인먼트사로 진화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을 통해 벌어들인 자금으로 진행 중인 광폭 인수·합병 행보는 이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다. 지난해 인수한 플랫폼 기업 비엔엑스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와 커머스 플랫폼 '위플리'를 만들었다. 지난 6월 론칭한 위버스 회원 수는 총 200만명으로 지난 6년간 방탄소년단 기존 팬 카페에 모인 150만명을 훌쩍 넘어선다.
서우석 비엔엑스 대표는 "위버스와 위플리만 켜면 모든 게 가능한 '음악 산업계 원스톱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밖에도 빅히트는 출판사 비오리진, 걸그룹 '여자친구' 소속사 쏘스뮤직, 음악게임사 수퍼브 등 다양한 기업을 자회사로 편입했으며, 현재도 여러 분야에서 인수·합병 후보군을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엔터업계에서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또 하나의 족적을 남길 수 있을지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쏠리고 있다. 이제까지 수직 계열화를 시도한 연예기획사 중 성공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는 "방탄소년단이라는 강력한 지식재산권(IP)이나 캐릭터를 통해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건 시도해볼 만한 일이다. 지금까지 빅히트 사업 확장을 보면 음악플랫폼, 게임, 드라마 제작 등 본업과 관련된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어 긍정적"이라면서도 "빅히트는 아직까지 기업 상장을 하진 않았지만 SM이나 YG처럼 주가를 견인하기 위해 이벤트를 만들고 무리하게 몸집을 불리는 실수를 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고보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