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진도군의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도자기와 총통 등 유물 120여 점이 발굴됐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은 12일 오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했다. 연구소는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4차례에 걸쳐 수중발굴조사와 탐사를 진행해 토기, 도자기류와 총통 등 전쟁유물까지 다양한 종류의 유물 790여 점을 발굴했다. 올해는 지난 5월부터 5차 발굴조사를 통해 도자기 등 120여 점의 유물과 함께 토기, 도기, 백자 등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명량대첩로 해역은 임진왜란 당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총통, 석환(돌포탄), 노기 등이 확인되며 이 해역 일대가 당시의 해전지였음이 재확인되는 계기가 됐던 곳이다.
올해 가장 많이 발굴한 유물은 아름다운 비취색을 띤 장식과 화려한 문양이 특징인 고려청자다. 생산 시기는 12~13세기 무렵이며 강진에서 제작된 접시, 잔, 유병 등이 주를 이룬다.
조사해역의 일부구간(약 200×180m구역)에서 집중적으로 출수된 닻돌들도 주목된다. 5차에 걸친 조사에서 총 60여 점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당시에 이 해역이 배들이 쉬어가는 정박지나 피항지의 역할을 해온 결정적 증거가 되는 유물이다. 중국식 닻돌은 진도 벽파항이 태안 마도, 군산 고군산군도 등과 더불어 해상 실크로드의 중심항구였음을 보여준다.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은 남해와 서해를 잇는 길목으로 예로부터 많은 배가 왕래하는 해상항로의 중심 구역이었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전라·경상지역에서 거두어들인 세곡과 화물을 실어 나르던 배들이 수시로 드나들던 해상 고속도로였으나, 가장 항해가 어려워 배들이 자주 난파되던 곳이기도 하다. 특히 이곳은 정유재란 시기 이순신 장군이 조류를 이용해 일본군을 격파한 울돌목에서 남동쪽으로 약 4km 떨어진 곳이며 명량해전이 벌어지기 전에 소규모의 해전이 벌어졌던 곳이기도 하다.
[오신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