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불이 난 리조트는 지난해 말 준공 승인을 받고 막바지 실내 인테리어 공사를 하던 중이었습니다.
불에 잘 타는 공사 자재가 곳곳에 널려 있어 순식간에 불이 옮겨 붙은 데다 유독가스와 연기 탓에 대피가 더 어려웠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어서 박상호 기자입니다.
【 기자 】
불이 난 건물 1층 내부입니다.
불에 탄 공사 자재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지난해 말 준공 승인을 받고 실내 수영장 인테리어 공사를 하던 중이었습니다.
▶ 스탠딩 : 박상호 / 기자
- "화재 당시 건물 내부에는 인테리어 자재가 곳곳에 널려 있었습니다. 대부분 가연성 물질이다 보니 불이 시작되자마자 삽시간에 검은 연기로 뒤덮였습니다."
내부 동선을 잘 아는 근로자들조차 탈출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 인터뷰 : 탈출 근로자
- "앞이 아무것도 안 보이고 연기가 뜨겁더라고. 내가 다니던 동선이 있으니까 계속 눈 감고 더듬다가…. "
119구조대가 출동했을 땐 숨진 6명 모두 심정지 상태였습니다.
통로 곳곳에 쌓여 있던 공사 자재 때문에 대피가 더 어려웠을 것으로 소방당국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홍문식 / 부산 기장소방서장
- "대피하는 중에 인테리어 자재 장애물이 발생해서 그 뒤로 대피로를 (찾다가) 방향 감각을 잃은 것 같습니다."
화재 당시 경보기는 작동했지만, 스프링클러가 정상 작동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일부 물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는데, 소방당국은 누군가 수동으로 조작한 것인지 아니면 배관이 녹아 누수가 발생한 것인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박상호입니다. [hachi@mbn.co.kr]
영상취재 : 안동균 기자, 강준혁 VJ
영상편집 : 박찬규
영상제공 : 부산소방본부, 부산경찰청
불이 난 리조트는 지난해 말 준공 승인을 받고 막바지 실내 인테리어 공사를 하던 중이었습니다.
불에 잘 타는 공사 자재가 곳곳에 널려 있어 순식간에 불이 옮겨 붙은 데다 유독가스와 연기 탓에 대피가 더 어려웠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어서 박상호 기자입니다.
【 기자 】
불이 난 건물 1층 내부입니다.
불에 탄 공사 자재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지난해 말 준공 승인을 받고 실내 수영장 인테리어 공사를 하던 중이었습니다.
▶ 스탠딩 : 박상호 / 기자
- "화재 당시 건물 내부에는 인테리어 자재가 곳곳에 널려 있었습니다. 대부분 가연성 물질이다 보니 불이 시작되자마자 삽시간에 검은 연기로 뒤덮였습니다."
내부 동선을 잘 아는 근로자들조차 탈출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 인터뷰 : 탈출 근로자
- "앞이 아무것도 안 보이고 연기가 뜨겁더라고. 내가 다니던 동선이 있으니까 계속 눈 감고 더듬다가…. "
119구조대가 출동했을 땐 숨진 6명 모두 심정지 상태였습니다.
통로 곳곳에 쌓여 있던 공사 자재 때문에 대피가 더 어려웠을 것으로 소방당국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홍문식 / 부산 기장소방서장
- "대피하는 중에 인테리어 자재 장애물이 발생해서 그 뒤로 대피로를 (찾다가) 방향 감각을 잃은 것 같습니다."
화재 당시 경보기는 작동했지만, 스프링클러가 정상 작동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일부 물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는데, 소방당국은 누군가 수동으로 조작한 것인지 아니면 배관이 녹아 누수가 발생한 것인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박상호입니다. [hachi@mbn.co.kr]
영상취재 : 안동균 기자, 강준혁 VJ
영상편집 : 박찬규
영상제공 : 부산소방본부, 부산경찰청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