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중국발 딥시크 충격이 전 세계 AI 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AI는 이미 운전과 쇼핑 등 우리 일상 깊숙이 들어와 있는데요, 그럼 한국의 AI 경쟁력은 어느 수준일까요?
정설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중국산 AI 딥시크의 출현에 오픈AI의 챗GPT는 정확성으로 맞섰습니다.
아무리 어려운 질문을 던져도 애널리스트 수준의 보고서를 뚝딱 만들어 내면서 딥시크 모델보다 3배나 더 정확하다고 강조합니다.
▶ 인터뷰 : 마크 첸 / 오픈AI 부사장
- "딥리서치는 정답을 내놓기 전에 5~30분의 고민을 거칩니다."
미국과 중국의 각축전 속에 AI는 이제우리 일상 깊숙이 파고들었고, 점점 더 진화하고 있습니다.
"뒷좌석에 물건을 뒀어요. 잊지 말고 챙기세요."
신호와 제한속도에 맞춰 운전하고 뒷좌석에 둔 물건도 챙겨주고, 내가 필요한 물건을 검색해서 주문까지 마쳐줍니다.
"포르투갈 방송을 진행할 수 있어서 너무 기쁩니다."
홈쇼핑과 뉴스 등 방송에서도 만나볼 수 있고, 의사를 도와 암 진단도 내립니다.
모두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AI 덕분에 가능한 일입니다.
국내 대기업도 잇따라 생성형 AI 시장에 뛰어들고 있지만, 아직 한국의 AI 경쟁력은 세계 6위 수준, 2군에 불과하다는 평가입니다.
▶ 인터뷰 : 이경전 / 경희대 경영대학 교수
- "열심히 하는 사람이 필요한데 그게 스타트업입니다. 그런데 스타트업에는 인재가 드물고 투자가 많이 안 들어와 있고 악순환이 걸려 있죠."
전 세계 AI 시장 규모는 5년 뒤 2,0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누가 주도권을 쥘 것이냐, 그 경쟁은 갈수록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MBN뉴스 정설민입니다. [jasmine83@mbn.co.kr]
영상편집 : 송지영
그래픽 : 박경희
중국발 딥시크 충격이 전 세계 AI 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AI는 이미 운전과 쇼핑 등 우리 일상 깊숙이 들어와 있는데요, 그럼 한국의 AI 경쟁력은 어느 수준일까요?
정설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중국산 AI 딥시크의 출현에 오픈AI의 챗GPT는 정확성으로 맞섰습니다.
아무리 어려운 질문을 던져도 애널리스트 수준의 보고서를 뚝딱 만들어 내면서 딥시크 모델보다 3배나 더 정확하다고 강조합니다.
▶ 인터뷰 : 마크 첸 / 오픈AI 부사장
- "딥리서치는 정답을 내놓기 전에 5~30분의 고민을 거칩니다."
미국과 중국의 각축전 속에 AI는 이제우리 일상 깊숙이 파고들었고, 점점 더 진화하고 있습니다.
"뒷좌석에 물건을 뒀어요. 잊지 말고 챙기세요."
신호와 제한속도에 맞춰 운전하고 뒷좌석에 둔 물건도 챙겨주고, 내가 필요한 물건을 검색해서 주문까지 마쳐줍니다.
"포르투갈 방송을 진행할 수 있어서 너무 기쁩니다."
홈쇼핑과 뉴스 등 방송에서도 만나볼 수 있고, 의사를 도와 암 진단도 내립니다.
모두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AI 덕분에 가능한 일입니다.
국내 대기업도 잇따라 생성형 AI 시장에 뛰어들고 있지만, 아직 한국의 AI 경쟁력은 세계 6위 수준, 2군에 불과하다는 평가입니다.
▶ 인터뷰 : 이경전 / 경희대 경영대학 교수
- "열심히 하는 사람이 필요한데 그게 스타트업입니다. 그런데 스타트업에는 인재가 드물고 투자가 많이 안 들어와 있고 악순환이 걸려 있죠."
전 세계 AI 시장 규모는 5년 뒤 2,0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누가 주도권을 쥘 것이냐, 그 경쟁은 갈수록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MBN뉴스 정설민입니다. [jasmine83@mbn.co.kr]
영상편집 : 송지영
그래픽 : 박경희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