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심우영
'위기의 지역대학'…경북도, 미래 교육체제 만든다
입력 2023-02-08 09:21  | 수정 2023-02-08 09:32
  • 기사 스크랩하기
  • 기사 공유하기
【 앵커멘트 】
지방대학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2025년부터 대학 지원사업 권한을 광역지자체가 갖게 되죠.
이와 관련해 국가교육위원회가 지방에선 처음으로 경상북도와 대학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심우영 기자입니다.


【 기자 】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학은 존폐 기로에 놓였습니다.

전국 4년제 대학교 총장 116명 중 65%는 10년 내, 60곳 이상 폐교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난 2000년 이후 경북 지역 대학 4곳이 문을 닫았고, 2023학년도 정시모집 결과 10개 학과는 지원자가 한 명도 없습니다.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위원회와 경상북도가 위기의 지방대학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 인터뷰 : 이배용 /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 "대학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인데, 너무 지방대학이 지금 힘이 든 상태라 산업과 연계하는 그런 것들을 현장을 찾아서 경청하면서 해법을 찾는…."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인재가 지방에 남는 시대'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지자체가 대학을 육성할 수 있는 만큼,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또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성공할 수 있는 기반과 해외 인재 영입에도 나섭니다.

▶ 인터뷰 : 이철우 / 경상북도지사
- "졸업과 동시에 취업할 수 있는, 함께 기업과 일하는. 그래서 지방정부에서 돈도 지원해 주고 행정도 지원하면서 공동 운영하는 그런 체제로 가자…."

전문대학에선 도의 지원이 4년제 대학에 집중될 것을 우려했습니다.

▶ 인터뷰 : 남성희 /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장
- "사립대학 위주로, 그리고 일반대학, 국립대 거점 대학 위주로 (지원이) 간다면 전문대학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지방대학 시대가 성공하려면 지자체와 대학, 기업의 깊은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MBN뉴스 심우영입니다. [simwy2@mbn.co.kr]

영상취재 : 이승환 VJ
심우영 기자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논두렁' 전문기자입니다.
바닥에 숨겨진 각종 갑질, 비리 등을 논두렁 뒤집듯 훑어드리겠습니다.
기자 세계를 떠날 때까지 참된 기자로 살아가겠습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



MBN 네이버 구독 배너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