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안철수 "의료대란, 공론화위원회 만들어 해법 찾아야"
입력 2024-06-18 17:53  | 수정 2024-06-18 17:59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지난 14일 오전 국회도서관에서 서울대 의과대학·서울대 비상대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국민-환자들이 원하는 개선된 우리나라 의료 시스템' 공청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의료시스템 붕괴 얼마 남지 않아"
"의정협의체 구성하고 공식적 대화 착수해야"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의료대란과 관련해 "공론화위원회를 만들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안철수 의원은 오늘(18일) SNS를 통해 "의대 증원 문제는 끝나지 않았다"며 "진짜 의료대란과 의료시스템 붕괴 위기의 데드라인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

안 의원은 의료 붕괴 우려 이유로 '전공의 이탈 및 적자 누적으로 인한 지방 의료원 연쇄 도산, 의대생 유급으로 인한 인턴·공보의·군의관 급감 등 의사 공백, 내년부터 유입된 7,500명의 의대 신입생·증원 학생·유급생 등으로 인한 교육의 질 저하'를 꼽았습니다.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과 오늘부터 시작된 개원의 집단 휴진에 관해 "환자의 생명을 담보로 한 진료 거부는 국민의 공감을 얻을 수 없다"며 철회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안 의원은 "의사협회는 한 걸음 물러나서 점진적 증원은 받아들이되 내년부터 시행하는 정도로 타협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나머지 요구에 대해서는 정부의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미 확정된 의대 증원을 다시 논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지만, 지난 수십 년간 만들어온 의료시스템이 무너지면 아무리 의대정원을 많이 늘려도 소용없다"며 "교육제도의 혼란보다 수십 년간 공들여 만든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는 것이 먼저"라고 호소했습니다.

안 의원은 아울러 "정부와 의사단체는 즉각 의정협의체를 구성하고 공식적인 대화에 착수해야 한다"며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 걸린 일엔 승자도 패자도 없으며, 오직 피해자는 우리 국민이라는 점을 명심하라"고 경고했습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