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류
다이소 화장품 구매자 72%가 만족..."브랜드보다 가성비"
입력 2024-05-27 16:19  | 수정 2024-05-27 16:28
다이소 화장품 제품군/사진=메조미디어 제공
C커머스 구매 이유 1위도 싼 가격…메조미디어 소비동향 분석

최근 소비자 물가가 계속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초저가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앱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

오늘(27일) CJ ENM의 통합 디지털 마케팅 기업 메조미디어의 '2024년 소비 트렌드 시리즈-초저가 소비' 리포트에 따르면 의류부터 공구까지 중국산 저가 제품을 파격적 가격에 파는 중국의 쇼핑앱, 이른바 C-커머스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메조미디어가 지난 3월 이커머스 소비 경험이 있는 19~49세 4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4%는 알리익스프레스 구매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구매 이유 1위는 '가격이 저렴해서'가 68%(중복 응답)로 가장 많았고 '제품이 다양해서'(40%), '주문과 결제가 편리해서'(16%), '트렌디한 제품이 많아서'(16%), '재고가 많아서'(1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 알리익스프레스는 한국 전용 전화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배송 기간을 3~5일 이내로 단축했으며, 90일 이내 무조건 반품과 환불이 가능하게 하는 등 한국 맞춤형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테무도 신규 가입 시 약 13만원의 쿠폰을 제공하고, 친구가 자신의 추천인 코드를 통해 가입 후 제품을 사면 10~30%가량의 수수료를 지급하는 등 공격적인 할인 마케팅을 전개 중입니다.

다만 알리와 테무 등에서 공급되는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에 대한 불만도 높아지고 있어 정부 차원에서 제품 감시 과정을 강화하는 등의 조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편, 이들 C-커머스와 더불어 VT 리들샷 페이셜 부스팅 퍼스트 앰플과 손앤박 아티 스프레드 컬러밤, TAG 듀얼 멀티 쉐딩 등의 화장품을 500~5천원 사이의 균일가에 판매하는 다이소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19~49세 여성 소비자 중 다이소 화장품을 구매해봤다고 응답한 사람은 41%였고, 이 가운데 만족했다는 답변은 72%에 이르렀습니다.

다이소 화장품을 산 이유로는 '가격 대비 성능이 좋아서'가 69%(중복 응답)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격이 저렴해서'(48%),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아서'(32%), '후기와 평가가 좋아서'(32%), '매장이 많아 접근성이 좋아서'(25%) 순이었습니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아성다이소는 최근 3년간 매장 수가 129개 증가했으며 지난해 연 매출은 3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초저가 커머스들의 강세와 소비 심리 약화가 맞물리며 기존 업체들도 가격을 강조하는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는 모습입니다.

롯데하이마트의 20만원대 '하이메이드 싱글원 냉장고', 홈플러스의 1만원대 대용량 즉석조리제품 '대짜 시리즈', 11번가의 '임박 마켓', 뷰티컬리의 '최저가 챌린지' 등이 대표적입니다.

메조미디어는 "물가 부담이 커지고 가격의 중요성이 증가하자, 가성비 높은 제품이라면 브랜드를 과감하게 포기하는 소비 행태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정민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ma1177@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