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김정은 '새 유도기술' 전술미사일 시험 참관…ICBM 화성-18형 공장도 방문
입력 2024-05-18 13:34  | 수정 2024-05-18 13:36
북한 김정은, 국방공업기업소 현지지도/사진=연합뉴스
GPS 유도장치 성능 개선해 사거리 늘려…대남용으로 추정
같은 날 한미연합훈련 반발 의미로 ICBM 발사차량 생산공장 방문


북한 미사일총국이 어제(17일) 동해상으로 새로운 유도기술인 '자치유도항법체계'를 도입한 전술 탄도미사일 시험 사격을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오늘(18일) 보도했습니다.

통신은 "해당 시험을 통하여 자치유도항법체계의 정확성과 믿음(신뢰)성이 검증되었다"며 이번 시험 사격은 "무기체계의 기술 고도화를 위한 정상적인 활동의 일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시험 사격을 참관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자치유도항법체계의 독자적 개발과 성공적인 도입이라는 결과에 내포되어있는 군사 전략적 가치에 대하여 대만족을 표시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이 '자치유도항법체계'를 도입했다는 것은 기존 전술미사일의 정확도를 높이고, 사거리를 늘릴 목적으로 위치정보시스템(GPS) 유도 장치부의 성능을 개선했다는 뜻으로 추정됩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은 "지금까지 북한의 전술 유도무기 사거리는 100∼110㎞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이번 미사일이 합참 발표대로 300㎞를 비행했다면 사거리가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어제 오후 3시 10분께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여러 발을 발사했으며, 이 미사일이 300여㎞를 비행한 후 동해상에 낙하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된 미사일은 함경북도 길주군 앞바다의 무인도 '알섬' 방향으로 날아갔으며, 일부는 알섬을 타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00여㎞라는 비행 거리를 고려할 때, 북한은 시험 발사를 통해 남측 주요 군사시설을 겨냥한 것으로 보입니다. 평양에서 육·해·공군 본부가 있는 계룡대까지 직선거리는 약 330㎞, 전북 군산의 주한 미 제8전투비행단까지는 약 350㎞입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이 최근 개발 중인 각종 무기체계는 러시아 수출용이 아니라 대남용이라고 담화를 발표한 날에 시험 사격이 이뤄진 것도 대남 위협용이라는 분석을 뒷받침합니다.

신 위원은 북한이 공개한 사진만으로는 미사일에 목표물을 향해 유도 비행하는 데 필요한 카메라 등 광학 장치를 탑재했는지 여부가 식별되지 않는다고 부연했습니다.

북한 "새로운 유도기술 도입한 탄도미사일 시험 사격"/사진=연합뉴스


같은 날 김 위원장은 시험 사격 참관과 아울러 미국 본토를 직접 타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 발사차량을 생산하는 국방공업기업소도 방문해 생산활동을 료해(파악)했다고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남한을 타격권에 둔 탄도미사일 시험 사격을 참관한 날에 미국을 위협하는 ICBM 발사차량 생산 공장에도 방문한 것은 한미 연합훈련에 대한 반발로 해석됩니다.

김 위워장은 이 기업소가 "핵전쟁 억제력 제고에 특출한 공적"을 세웠다고 치켜세우면서 올해 상반기 생산실적과 연간 군수 생산 계획 수행 전망에 커다란 만족을 표시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적들의 무모한 군사적 대결책동으로 조성된 국가의 안전환경에 대처하여 핵전쟁 억제력 제고의 필수성을 더욱 엄정히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우리의 핵무력을 보다 급속히 강화하기 위한 중요활동들과 생산활동을 멈춤 없이, 주저 없이 계속 가속화해 나가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중국과 러시아 정상이 대북 지지를 재확인한 다음 날 이러한 일정을 소화했다는 점에서 북중러 대 한미일로 나뉘는 '신냉전' 구도를 북한에 유리하게 활용하려는 의도도 깔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김경태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ragonmoon2021@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