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최대 23조' 부실 PF 사업장 구조조정…건설업계 '반발'
입력 2024-05-13 19:00  | 수정 2024-05-13 19:53
【 앵커멘트 】
정부가 저축은행과 건설업계의 폭탄으로 떠오른 PF 부실 문제에 칼을 빼들었습니다.
전체 230조 원 규모의 PF 사업장 가운데 회생이 불가능한 10%는 과감하게 정리하는 겁니다.
23조 원 규모인데, 서울 강남의 사업장도 일부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건설업계와 금융권의 반발도 예상됩니다.
김태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서울 개포동의 한 도시형 생활주택입니다.

3월 만기가 도래한 PF 대출을 상환하지 못해 주택 78채를 모두 공매에 넘겼지만, 8차례 진행되는 동안 고작 3채만 팔렸습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이후 금융당국이 주저하는 사이 PF 대출 연체율은 2.7%까지 높아졌고, 결국 당국이 대응책을 내놨습니다.


먼저 사업장 평가 대상을 기존 135조 원에서 230조 원으로 확대하고, 새마을금고 PF 대출도 포함시켰습니다.

이 가운데 최대 10%로 추정되는 '부실 우려' 사업장은 경·공매를 통해 강제 매각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 인터뷰 : 권대영 /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 "크게 보면 한 90~95% 정도는 저희가 정상 사업장으로 일단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캠코가 인수한 사업장을 나중에 재매입할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주고, 금융회사 손실 발생 시 임직원 면책도 해 줄 계획입니다.

하지만, 금융사나 건설업계 모두 막대한 손해를 보며 사업장을 팔기보다는 부동산 경기 회복 때까지 '버티기'에 나설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 인터뷰 : 건설업계 관계자
- "일부러 공매나 이런 것들을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그냥 악성 채권으로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꽤 있거든요. 그런데 이게 정리가 되면 손실이 확정되다 보니까…."

시행업계는 이번 조치가 오히려 공급 단절을 가져오고, 중후순위 채권을 가진 시공사와 금융권의 도미노 부실로 이어질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태형입니다. [ flash@mbn.co.kr ]

영상편집 : 김경준
그래픽 : 이새봄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