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군용차 배터리 폭발로 병사 얼굴 다쳤는데…軍·제조사 '잘못 없다'
입력 2024-05-11 09:43  | 수정 2024-05-11 09:49
폭발사고(PG)/사진=연합뉴스
업체 "부대 안전 관리 부실" 주장…군은 '관리에 이상없었다'
민간병원서 자비 치료받는데 흉터 치료비용 지원 안 될 수도





군에서 차량 배터리 폭발 사고로 병사가 얼굴을 다쳤지만, 피해자가 일단 자비를 들여 치료받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군 당국이 사후 정산해 치료비를 부담할 수도 있다고는 하지만 흉터 치료 등에 대해선 지원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이어서 피해자 측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오늘(11일) 육군과 배터리 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30일 오후 경기도 김포시 육군 모 부대 내에서 군용차 배터리가 폭발했습니다.

당시 자대 전입 2개월 차 일병이었던 A(20) 상병은 2.5t 군용차의 폐배터리를 창고로 옮겨 내려놓는 작업을 하던 중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 사고로 A 상병의 얼굴에 파편이 튀면서 각막·입술·뺨 등 여러 부위를 다쳤습니다.

사고 직후 A 상병은 민간병원 응급실로 이송됐고, 각막에 들어간 이물질을 제거하는 치료를 받았습니다. 또 입술과 뺨 등이 찢어져 봉합 수술까지 받아야 했고, 여전히 흉터를 지우기 위한 성형외과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군 당국과 배터리 제조사 모두 잘못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배터리를 수거해 자체 조사한 제조사는 배터리 자체 하자가 확인되지 않아 보상이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제조사 측은 "정전기가 쉽게 일어나고 환기가 잘 안되는 철제 컨테이너가 폐배터리 보관 창고였다"며 "이동 과정에서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정전기와 함께 폭발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군의 안전 관리가 미흡했다는 주장입니다.

군은 A 상병이나 부대 차원의 잘못은 없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조사 측 분석과 달리 안전 관리가 제대로 이뤄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육군본부는 지난달 전공상심사위원회를 열어 A 상병이 '공상'(군 복무 중 다침)에 해당한다고 결정하여 사고 초기 발생한 치료비를 지원했습니다.

그러나 부상 치료 이후 흉터 제거 진료 등에 대해서는 비급여 항목으로 판정될 경우 규정상 지원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입장입니다.

A 상병은 사비로 흉터 치료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복무 중 외출마다 치료받고 있는데, 이미 치료비로 사비 100만 원을 사용했습니다. 향후 700만 원 이상 비용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A 상병 측은 얼굴에 평생 흉터가 남을 수 있는데도 모두가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A 상병의 아버지는 "앞으로도 사비를 들여야 하는 데다가 흉터가 완전히 제거될지도 미지수"라며 걱정했습니다. 그러면서 "군부대가 안전 장비도 없이 위험한 일을 시켜 놓고 모른 척하는 게 원통하고 화가 치밀어 오른다"고 말했습니다. 당시 A 상병은 보안경 등 보호장구를 지급받지 못했습니다.

이에 육군은 "향후 A 상병이 진료비를 청구할 경우 관련 법규에 따라 지원할 것"이라며 "유사 사고 예방을 위해 폐배터리의 안전한 취급 및 보관 지침을 하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A 상병 측은 엄연히 군 복무 중 당한 사고인데도 직접 민간 배터리 제조사를 상대하며 치료 비용 지원 등을 따져 묻고 있습니다.

한편 제조사는 취재가 시작되자 "치료비 등을 위로 차원에서 지원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경태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ragonmoon2021@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