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역 강소 종합병원 육성해 수도권 쏠림 막아야"
입력 2024-04-19 14:18  | 수정 2024-04-19 14:25
설문조사 결과
부산시민 92%, 아플 때 지역 내 의료기관서 진료
지역 의료 살길은 지역 종합병원에 강소 의대 신설

우리나라 의료제도의 가장 문제점은 의료시설의 수도권 집중화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역 의료를 정부에서 지원하고, 지역 의대 증원이나 신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NN닥터TV는 지난 4월 10일부터 14일까지 부산 거주 20세 이상 성인남녀 1,261명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과 대면으로 '정부와 의사의 대립과 의료발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아플 땐 지역 종합병원 이용…의료시설은 수도권 집중화

설문조사 결과

우리나라 의료제도의 가장 문제점으로는 절반 이상(55.6%)이 의료 시설의 수도권 집중화를 꼽았고, 다음으로 환자의 수도권 쏠림(24.0%), 잘못된 의료전달 체계(13.6%) 순이었습니다.

본인이나 가족이 아플 때 이용하는 병원은 지역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75.4%)이 가장 많았고, 이른바 '빅5 병원'은 4.7%, 수도권 병원은 3.2%로 조사돼 부산시민 열 명 가운데 아홉 명은 지역에 병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지역 의료 활성화 방안으로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지역 의료를 정부에서 지원(39.1%)'을 꼽았고, 의료전달 체계의 법제화(23.3%), 지역 의대 증원 혹은 신설(22.5%), 지역 의료 수가 신설(15.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설문조사 결과

의료공백, 정부·의대생 모두 책임…"정부·의사 협의체 구성해야"


두 달 넘게 의료현장의 혼란을 야기한 의료사태에 대해 시민 절반(50.3%)이 의대생(전공의)과 정부 모두에게 그 책임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31%는 의대생(전공의), 18.7%는 정부에 책임을 돌렸습니다.

의정갈등의 해법으로는 60.9%가 당장 의사와 정부 간의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의료계 일각에서 제기된 '의대 증원을 1년 유예한다'는 해법은 7.2%만 지지했습니다.

부산시민들은 의대 증원의 적정선을 2,000명 33.5%, 1,000명 32.5%, 500명 18.1%, 300명 7.8% 순이었습니다.


지역 종합병원에 소규모 의대 신실도 대안


의대 신설의 가장 바람직한 방안으로는 이미 정부에서 발표한 '기존 의대에만 배정'하는 방식(28.9%)보다는 '지역 종합병원에 소규모 의대를 여러 개 지역마다 신설(31,5%)', '기존 의대의 증원과 함께 지역 종합병원에 소규모 의대 신설(30.5%)'하는 방안을 꼽았습니다.

ONN닥터TV 관계자는 "의정갈등 이후 국민이 현 사태를 바라보는 시각을 진단하고, 사태의 장기화로 인해 심화하는 의료현장의 혼란을 조기에 중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게 이번 조사의 목적"이라며 이번에 나타난 여론에 따라 의사단체와 정부 간 하루빨리 대화에 나설 것을 바랐다"고 전했습니다.

[ 안진우기자 tgar1@mbn.co.,kr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