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공의 70% 사직…의료대란 사흘째에 환자 피해 '눈덩이'
입력 2024-02-22 08:20  | 수정 2024-02-22 08:31
전북대병원 앞에 붙은 전공의 사직 관련 안내문. /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을 보이는 가운데, 전공의들의 약 70%가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정부와 의사 간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며 환자들이 입는 피해도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오늘(22일) 정부에 따르면, 전체 전공의 대부분이 근무하는 주요 100개 수련병원을 점검한 결과 20일 밤까지 전공의 8816명이 사직서를 제출했습니다. 이는 전체 전공의 1만 3000여명의 70%가량을 차지합니다.

특히 근무지 이탈자는 7813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전공의들이 강경한 입장을 보이는 가운데, 정부도 엄정 대응 방침을 유지하며 업무개시명령 등으로 전공의들을 다시 병원으로 불러들이려 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지금까지 전공의 6228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렸습니다. 전공의 3377명은 소속 수련병원으로부터 명령 불이행 확인서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법무부, 행정안전부, 대검찰청, 경찰청도 어제(21일) '의료계 집단행동 대책 회의'를 열어 업무개시명령에도 복귀하지 않고 집단행동을 주도하는 주동자와 배후 세력에 대해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하고, 정상 진료나 진료 복귀를 방해하는 행위도 엄중히 처벌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정부와 의사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환자들이 입는 피해는 점점 늘고 있습니다.

특히 병원 측에서 응급과 위중증 환자 위주로 수술하고, 급하지 않은 진료와 수술은 최대한 미루고 있어 기존 수술 일정에 막대한 차질이 생기고 있습니다.

실제로 하루 200~220건을 수술하는 삼성서울병원은 전공의들의 사직서 제출이 시작된 19일을 기점으로 전체 수술의 10%, 20일에는 30%, 어제(21일)는 40%를 연기했습니다.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는 수술을 절반으로 줄였습니다. 서울성모병원과 서울아산병원도 수술을 30%가량 축소했습니다.

한편 강원 원주의 한 병원에서 최근 입원환자와 보호자에게 '응급상황 발생 시 상급병원 전원이 어려울 수 있어 사망, 건강 악화 등 환자 상태 변화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서약서를 받기도 했습니다.

종합병원이 아닌 일반 병원급에서도 의료공백이 확산되며 수술 취소 규모도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혜원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befavoriteone@gmail.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