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200억대 일타강사 '킬러문항 배제' 비판에 민심은 싸늘, 왜?
입력 2023-06-20 13:22  | 수정 2023-06-20 13:34
사진=메가스터디 현우진 강사 인스타그램 캡쳐
정부 방침에 “애들만 불쌍”
민심은 싸늘 “킬러문항 최대 수혜자들이…”

윤석열 대통령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교육과정 바깥 범위의 문제출제'를 배제해야 한다고 주문한 것을 두고 사교육계를 대표하는 이른바 '일타강사'들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대부분 메가스터디 소속이고 그 중 일부는 자신의 부(富)를 소셜미디어를 통해 과시해온 사람들이었습니다.

수능 수학영역 강사인 현우진씨는 지난 17일 인스타그램에 관련 언론 보도를 공유하며 애들만 불쌍하다”고 했습니다. 현씨는 학원에서 받는 연봉만 200억원대로 알려졌습니다. 2017년엔 소득세가 130억원”이었다고 직접 인증했습니다.

현씨는 "9월(모의평가)하고 수능은 어떻게 간다는 거냐"며 "지금 수능은 국수영탐 어떤 과목도 하나 만만치 않고, 쉬우면 쉬운 대로 어려우면 어려운 대로 혼란인데 정확한 가이드를 주시길(바란다)"이라고 했습니다.
사진=메가스터디 홈페이지 캡쳐

학생들에겐 "매번 말씀드리듯 6·9월(모의평가), 수능은 독립 시행이니 앞으로는 더 뭐가 어떻게 어떤 난이도로 출제될지 종잡을 수 없으니 모든 시나리오 다 대비하는 수밖에 없다. EBS 꼭 챙겨서 풀어야 한다"며 "비판적인 사고는 중요하지만 적어도 시험에서는 모든 것이 나올 수 있다는 비(非) 비판적인 사고로 마음을 여시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역사 강사인 이다지씨도 "학교마다 선생님마다 가르치는 게 천차만별이고 심지어 개설되지 않는 과목도 있는데 '학교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 수능을 칠 수 있게 하라'는 메시지라…"라며 "9월 모의평가가 어떨지 수능이 어떨지 더욱더 미지수"라고 했습니다. 이씨 역시 과거 소셜미디어와 유튜브 출연 등을 통해 자신의 수입차와 고급주택을 대중에게 보여준 바 있습니다.

여론은 대체로 냉담하다. 정부 정책 방향의 옳고 그름을 떠나, 사교육 중심의 비정상적 교육 풍토 속에서 매년 수십~수백억원을 벌어들여온 최대 수혜자들이 전면에 나서서 정책을 비판하는 게 타당하냐는 지적입니다. 상당수 일타강사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호화로운 생활을 과시해온 점도 부정적 기류 형성에 영향을 줬습니다. "애들한테 번 돈으로 수입차 사고 호화로운 주택에 살면서 그걸 자랑하는 게 교육자의 태도라 할 수 있느냐" 등의 비난도 잇따랐습니다.

강사들의 유튜브 채널 등에 네티즌들은 "밥줄 끊길까봐 그러냐", "수능을 배운 거에서만 내라는 게 왜 잘못된 거냐", "솔직히 살면서 알 필요 전혀 없는 고난도 문제 한 두개라도 맞추려고 부모님 노후대책까지 포기하면서 학원 다녀야 하는 현실에 처한 아이들이 제일 불쌍한데요?"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서예림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ylanastasia7767@gmail.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