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뉴스추적] 용산서장 거짓말 / 무정차 / 영장 신청 / 유족협의체
입력 2022-11-29 19:00  | 수정 2022-11-29 19:28
【 앵커멘트 】
이태원 참사 관련해 입건된 피의자들의 거짓말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사회부 이규연 기자와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 질문 1 】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의 말이 계속 바뀌고 있지 않나요?
처음엔 이태원 참사 발생 5분 뒤인 밤 10시 20분에 현장에 도착했다고 했는데 아니었죠?

【 기자 】
그렇습니다.

상황보고서를 보면 이 전 서장이 사고 발생 5분 뒤인 밤 10시 20분에 현장에 도착했으며, 이후 운집한 인파 분산을 위해 차량 통제 지시 및 안전사고 예방 지시를 했다고 기재돼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실은 밤 11시 5분에 도착한 것으로요.

때문에 차로 5분 거리를 45분 이상 걸려 도착한 게 이상하다는 의혹이 나왔었고,

이 전 서장이 뒷짐을 지고 걸어가는 cctv가 공개돼 비난을 받앗었죠.


【 질문 1-1 】
그럼 이임재 전 서장은 또 거짓말을 한 겁니까. 참사 당일 첫 보고를 받은 시각이 11시쯤이라고 햇었으니 말이죠?

【 기자 】
그렇습니다.

이 전 서장은 그동안 밤 11시가 돼서야 위급한 상황을 알고 이태원 파출소에 도착했다는 입장이었죠.

▶ 인터뷰 : 조은희 / 국민의힘 의원(지난 16일)
- "뛰어가면 5분 거리도 안 되는데 왜 1시간을 빙빙 도셨냐고요."

▶ 인터뷰 : 이임재 / 전 용산서장(지난 16일)
-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정말 그런 내용을 모르고 있었고…."

【 질문 1-2 】
하지만 단독 보도해드린 것처럼 10시 32분에 이미 첫 보고를 받았고, 관용차에서 무전 지시까지 했으니, 이임재 전 용산서장이 위증을 한거네요?

【 기자 】
국회에서 거짓 증언을 하면 위증 혐의가 성립할 수도 있는데요.

다만, 국회가 고발해야 수사가 시작될 수 있고요.

위증이 입증되면 가중 처벌 받게 됩니다.

그래서 이 전 서장에 대한 특수본 수사 결과가 중요한데요.

이 전 서장에게 적용된 업무상 과실치사상과 직무유기 혐의를 입증하는 데, 인지 시점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현재 무전 내용을 토대로 세밀하게 들여다보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질문 2 】
특수본이 2차로 9명을 무더기 입건했을 때 눈에 띈 인물이 바로 이태원역장이었는데요. 무정차 요청을 거부한 그 이유 때문으로 보이네요?

【 기자 】
네, 이태원 역장 참사 당일 지하철 무정차 통과 조치를 하지 않은 점과 관련해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됐죠.

그동안 이걸 놓고, 실무진에게 책임 씌우는 꼬리 자르기식 수사라는 비판이 제기됐는데요.

하지만 경찰이 무정차가 가능하냐는 문의를 참사 당일 밤 9시 32분에 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역장 역시 책임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현재 역장은 경찰의 무정차 요청 사실 자체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질문 3 】
사건을 수사중인 특별수사본부가 이번 주 주요 피의자들에 대한 구속 영장을 신청한다고 했죠?

【 기자 】
네, 특수본은 주요 피의자 조사를 마치는 대로 이들에 대한 신병 처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는데요.

구속영장 신청 대상에는 오늘(29일) 포함 세 차례 소환 조사를 받은 박희영 구청장을 비롯해 이임재 전 용산서장, 류미진 서울청 전 인사정보과장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참사 발생 후 사전에 작성된 인파 위험 경고 보고서를 삭제 지시한 혐의를 받는 박성민 전 서울청 정보부장도 영장 신청 대상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 질문 4 】
그런데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이 협의체를 만들어 목소리를 내기로 했다면서요?

【 기자 】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가족 일부가 협의회 구성에 나섰는데요.

이들은 어젯(28일)밤 성명서를 내고 "유가족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죽음에 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에게 합당한 책임을 묻겠다"며 발족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또 "정부가 일부 책임자들에 대해서만 수사를 진행하면서 유가족들에게 어떤 설명도 하지 않고 있다"며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65명으로 시작한 협의회 준비모임은 다른 유가족들도 참여하면서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협의체 정식 출범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 앵커멘트 】
지금까지 사회부 이규연 기자였습니다.

영상편집 : 양성훈
그래픽 : 강수연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