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윤 대통령, 바이든과 '스탠딩 환담'…박홍근 "48초가 전부?"
입력 2022-09-22 11:28  | 수정 2022-09-22 11:30
밝은 표정의 한미정상 -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빌딩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를 마친 뒤 대화를 나누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한미 정상회담, 불발된 듯
민주 “정상외교 성과 전무…외교참사”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과 짧은 환담을 가졌습니다. 양국 정상회담은 바이든 대통령의 뉴욕 체류 기간 단축 여파로 성사되기 어려운 것으로 관측됩니다.

윤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각) 뉴욕 시내에서 열린 ‘글로벌 펀드 제7차 재정공약 회의에 참석해 바이든 대통령과 대화를 나눴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주최한 행사로 당초 일정에 없었지만, 초청을 받아 참석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습니다.

행사가 끝난 후 각국 정상들은 단체 사진을 촬영했고, 이 과정에서 윤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과 만나 약 48초가량 대화를 나눴습니다. 윤 대통령은 바이든의 어깨를 잡으며 친근함을 표현했습니다.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전해지지 않았지만, 짧은 만남으로 구체적인 현안들이 오가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윤 대통령은 이 행사 참석을 위해 앞서 예정된 한미 스타트업 서밋, K-브랜드 엑스포 행사 등을 모두 불참했습니다. 하지만 1분 남짓한 대화에 그치면서 양국 정상의 만남에 의미를 부여할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 발언하고 있다. /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야권에서는 윤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무산과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비굴, 빈손 외교”라고 비판했습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윤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48초간 서서 나눈 짧은 대화가 설마 정상회담의 전부일 것이라고 믿고 싶지 않았다”며 그게 전부라면 전기차 보조금 차별과 반도체·바이오산업 압력 등 누누이 강조했던 주요 경제 현안은 하나도 풀어내지 못한 것이라 참으로 걱정이다”라고 직격했습니다.

이어 윤 대통령이 그토록 강조한 한미 가치동맹의 민낯과 사전 대응도 사후 조율도 못 한 실무라인의 무능도 모자라, 대통령 스스로 대한민국 품격만 깎아내렸다”며 정상외교의 목적도 전략도 성과도 전무한 국제 망신 외교참사에 반드시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오늘 새벽 일본 총리가 있는 곳으로 대통령이 직접 찾아가 가까스로 성사된 기껏 30분가량의 만남은 일방적 구애로 태극기 설치도 없이 간신히 마주 앉은 비굴한 모습에 불과했다”며 가장 중요한 강제징용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전은 전혀 없었다. 윤석열 정부에 대한 빈손 외교, 비굴 외교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됐다”고 꼬집었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