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금리인상으로 고소득층 195만원 손실…저소득층의 18배
입력 2022-09-18 17:38  | 수정 2022-09-18 20:46
#예·적금 운용 규모가 7600만원이나 되는 고소득자 A씨는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뉴스가 달갑지 않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예·적금 금리 인상 소식은 대출 금리가 덩달아 뛴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A씨는 부동산·주식 투자 등을 위해 대출한 돈이 2억5000만원에 달해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부담이 훨씬 크다. 만약 A씨의 예·적금 납입액이 향후 1년간 꾸준히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예·적금 금리 상승(1.9%포인트)에 따른 연간 기대수익 증가액은 144만8000원에 그친다. 같은 방식으로 대출 액수가 그대로 유지됐을 때 연간 대출 이자 부담액 증가분(1.53%포인트)은 381만6000원에 이른다. 수익과 이자 부담 증가액을 합하면 금리 상승에 따라 236만8000원의 손실을 보는 셈이다. 반면 저소득자인 B씨는 금리 인상 소식에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B씨의 예·적금 가입액은 848만원, 부채는 1754만6000원이다.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B씨의 예·적금 수익 증가액은 16만1000원, 이자 부담 증가액은 26만8000원이며 연간 손해액은 10만여 원이다.
금리가 인상되면서 고소득 가구의 이자 손실액이 저소득 가구의 20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금리 시대에 소득이 높을수록 자산 투자에 적극 나서면서 대출 수요가 높고, 높은 신용도를 바탕으로 대출을 받는 것도 수월해 부채 액수가 많았던 결과다.
매일경제신문이 18일 통계청의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와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자료를 바탕으로 소득 5분위별 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소득층(소득 5분위, 상위 20%) 가구의 손실액은 평균 195만600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층(소득 1분위, 하위 20%) 가구의 손실액인 약 10만7000원의 18.5배에 달한다. 중산층(소득 2~4분위, 상위 20~80%) 가구의 손실액은 평균 121만6000원이다. 모든 계층의 평균 손실액은 88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금리 상승에 따른 계층별 손실액은 가계금융복지조사의 순자산 분위별 예·적금, 부채 액수에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자료상 순수 저축성 예금·가계 대출 금리 변동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추정했다. 이에 따르면 예·적금 보유액이 많을수록 금리 인상에 따른 수익이 커지고, 부채 보유액이 많을수록 손해액이 커진다. 고소득층으로 갈수록 예·적금과 부채액이 함께 증가했지만, 부채 증가폭이 더 컸던 결과 손실액도 이에 비례해 늘어났다. 금리 변동폭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지난해 8월부터 인상된 것을 감안해 지난해 7월과 최신(올해 7월) 수치를 비교해 순수 저축성 예금(예·적금) 금리는 1.9%포인트 상승, 가계대출 금리는 1.53%포인트 상승을 적용했다.

박창현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순수 저축성 예금 금리 통계에 대해 "기업 대상 예·적금 상품도 포함돼 현재 가계 금리가 어떤 수준인지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금리의 변동폭을 따질 때는 가계와 기업 대상 상품의 차이가 크지 않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득 수준 대비 금리 상승 손실액 비교에서도 고소득층의 타격이 상대적으로 컸다. 저소득층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1294만원(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기준)으로 금리 상승 손실액(10만7000원)은 소득 대비 0.8%에 그쳤다. 반면 고소득층에서는 금리 상승 손실액(195만6000원)을 연평균 소득(1억4208만원)으로 나눈 비율이 1.4%였다. 소득이 낮을수록 가처분소득 비율이 낮아지는 것을 감안해도 상당한 격차를 보인 셈이다.
중산층의 경우 소득(5040만원) 대비 금리 상승 손실액(121만6000원) 비율이 2.4%에 달해 실질적 부담이 가장 클 것으로 관측된다. 이들이 저소득층에 비해 손실액은 11배나 많았던 반면 소득 배율은 4배 수준에 그쳤기 때문이다. 금리 상황을 제2금융권까지 감안해 계산했을 때도 유사한 결과가 나온다.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이 많이 이용하는 비은행 금융기관들의 대출 금리는 지난 1년간 제1금융권에 비해 증가폭(1.53%포인트)이 덜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자료에 따르면 비은행 금융기관들의 대출 금리 증가폭은 상호저축은행 0.87%포인트, 신용협동조합 1.15%포인트, 상호금융 1.14%포인트, 새마을금고 0.94%포인트 등이었다.
[문재용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