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尹·安 단일화 두고 기싸움…'1대 1 담판 단일화설' 여전
입력 2022-02-25 09:24  | 수정 2022-02-25 09:29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긴급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안 후보의 단일화 결렬 선언 이후 윤 후보 지지율 저조 양상
한 번의 담판으로 결정 가능한 단일화 방식 해법 찾기 주력

야권 대선후보 간의 단일화가 연이어 무산된 가운데 국민의힘 윤석열·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단일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팽팽한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안 후보의 단일화 결렬 선언 이후 윤 후보의 지지율이 부진하며 중반전 판세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 후보가 초접전을 벌이는 국면으로 전환됐습니다.

윤 후보는 단일화 정국에서 공개적으로 단일화에 관한 언급이나 구애를 자제하면서도 안 후보에게 제시할 단일화 방안 묘수 찾기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반대 진영에 있는 이재명 후보가 오히려 윤 후보보다 안 후보에 더 적극적인 구애를 펼치면서 안 후보와 이 후보가 단일화를 이룰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양 후보는 직접 만나 한 번의 담판으로 결정 가능한 단일화 방식 해법 찾기에 주력하는 모양새입니다. 윤 후보가 단일화 판에 섣불리 발을 들였다가 소모적인 '밀당'으로 피로감이 가중될 경우 이에 따른 국민적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고 책임론이 불거질 것을 의식해 두 후보가 담판을 통한 '원샷 단일화'를 성사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당 일각에서는 "윤 후보도 단일화를 원하지만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 같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윤 후보 입장에서는 단일화가 가장 민감한 이슈다 보니 제3자를 끼고 협상에 나설 경우 본인의 의사와 다른 내용이 전달될 가능성을 점치고 있어 일이 더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안 후보의 단일화 결렬 선언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은 정권교체 명분을 들어 당 차원에서 단일화 구애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권영세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장은 "당대표를 비롯해서 우리 모두가 사감이나 사익은 뒤로 하고 정권교체라는 대의를 앞세워야 할 때"라며 이준석 대표를 공개 경고하고 안 후보를 달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앞서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는 다소 과격하고 성급하게 단일화를 이루려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은혜 국민의힘 선대본부 공보단장도 라디오에서 "당에서는 국민들의 50%가 넘는 정권교체 여론에 대해 상당히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단일화에 대한 국민 바람도 상당히 경청해야 되고 저희가 그 바람에 어긋남이 없도록 노력해야 된다"며 단일화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안 후보는 단일화 결렬 선언 이후 "단일화 시간은 지났다"며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지율이 하락한 윤 후보에게 단일화를 위해선 접고 들어 오라고 기선을 제압하려는 전략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윤 후보가 직접 전화를 걸어 담판회동을 제안한 것과 달리 안 후보는 짧은 문자로 단일화 제안 철회를 통보한 것도 일종의 '기싸움'이라는 분석입니다.

이태규 총괄선대본부장은 이준석 당대표와 물밑에서 오간 단일화 협상의 세부안을 공개하는 폭로전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이 본부장은 2월 초 이 대표를 만나 안 후보 사퇴를 전제로 한 합당 시 국민의당의 공천 참여 보장, 3·9종로 보궐선거 '안철수 공천' 등을 제안받았다고 폭로하기도 했습니다.

야권 일각에선 이같은 팽팽한 신경전 탓에 단일화가 물 건너간 것 아니냐는 비관론이 확산되고 있지만, 단일화 국면의 갈등이 고조될수록 역설적으로 꽉 막힌 단일화의 숨통이 트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지 않겠냐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윤 후보로서는 지지율이 고공행진할 땐 안 후보의 양보를 압박했지만 최근 이재명 후보와 박빙의 승부를 벌이고 있어 안 후보와의 타협점을 모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만큼 전면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결국 직접 만나 담판을 지을 수밖에 없다는 시나리오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지지율이 한 자릿수로 낮아진 안 후보로선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양강 주자의 지지층 결집력이 강화되면서 이재명·윤석열 후보 쪽으로 자신의 지지층이 이탈할 개연성이 높아 앞으로 지지율이 급반등하지 못할 경우 완주에 부담을 느껴 출구전략으로 단일화를 도모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