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병무청 개입 수사 주력…압수수색도 검토
입력 2009-09-22 19:15  | 수정 2009-09-22 19:58
【 앵커멘트 】
병역비리 수사 속보입니다.
신종 '병역 비리'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병무청과 병원이 개입됐는지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안구나 척추 이상 등을 이유로 공익 판정을 받은 이들에 대한 병적 자료를 요청하고, 병무청에 대한 압수수색까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정원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구속된 브로커 윤 모 씨의 통화내역에서 밝혀진 군 면제자와 공익요원 12명은 각각 12곳의 다른 병원에서 진단을 받았습니다.

안구·척추 이상 등이 면제나 공익 판정의 사유였는데 경찰은 이들 병원에 당시 진료 기록을 요청했습니다.

또 공익요원 3명이 윤씨의 계좌로 돈을 입금한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경찰은 서울과 대전 등 6개 지방병무청에 이들 12명의 병적 기록을 요청하고, 압수수색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브로커 차 모 씨를 통해 입대를 연기한 97명의 서류를 검토했던 병무청 직원 2명도 소환돼 경찰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97명의 정확한 신원을 파악하고자 경찰은 이들이 송금에 이용한 시중은행 18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일 방침입니다.

'어깨 탈구 수술' 병역 기피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일산경찰서는 20여 명을 추가로 소환해 조사를 벌였습니다.

▶ 인터뷰 : 주정식 / 일산경찰서 형사과장
- "어제까지 114명 조사했고 오늘(22일) 20여 명 조사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이들에게 어깨탈구 수술을 해준 병원의 진료기록과 MRI 자료, 수술 영상 등을 전문 기관에 감정 의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병역기피 의혹을 받는 203명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이르면 이번 주 안에 병원 원장 등 관계자 등도 조사할 예정입니다.

MBN뉴스 정원석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