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코로나는 중국 책임?...중 "미 육군 실험실 조사 필요"
입력 2021-06-20 13:20  | 수정 2021-09-18 14:05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대한 기원을 놓고 미국과 중국이 지속적으로 공방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세계보건기구 WHO에 미군 실험실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20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루사예 프랑스 주재 중국대사는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유출설을 퍼트리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이에 덧붙여 WHO가 코로나19 규명의 다음 단계 대상은 미국 메릴랜드주에 위치한 미 육군 산하 포트 데트릭 생물실험실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그는 미국이 2003년 이라크 전쟁을 하기 위해 동원했던 방식과 중국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었다는 문제 제기 방식에 유사점이 많다”며 죄를 전제로 비난한 뒤 여론을 부추기고 오도하는 방식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포트 데트릭 실험실이 국제적인 조사를 받아야 한다”면서 바이러스의 실험실 유출 가능성이 계속 제기돼 왔기 때문에 WHO의 다음 조사는 포트 데트릭에 초점을 맞춰야 하고 미국은 중국처럼 WHO와 협력해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WHO는 지난 1월, 코로나19 첫 감염자가 보고된 중국 우한에서 현장 조사를 벌였고. 현장 조사를 진행한 조사팀은 당시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중간 숙주를 거쳐 사람에게로 전파 되었다는 가설이 유력하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당시에 조사팀의 자료 접근권을 제한하여 정확하고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지난 3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정보 당국에 코로나 19 기원을 조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우한연구소가 유출의 근원지일 수 있다는 의혹을 보도하면서 다시 기원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고, 지난 달 추가 조사를 다시 지시한 상태입니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포트 데트릭 실험실은 1969년 이전 생물 무기 프로그램의 중심이었고, 에볼라와 같은 치명적 질병을 다루는 곳이었습니다.

그러나 2019년 7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명령으로 폐쇄되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