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만 하루평균 6.58건…경찰, 서울시와 노인학대 공동대응 체계 구축 나서
입력 2021-06-14 15:08 

경찰이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맞아 서울시와 함께 노인학대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학대 피해 가능성이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합동점검에 나선다.
14일 서울경찰청은 서울시·노인보호전문기관과 함께 '노인학대 예방의 날'인 15일부터 7월 말까지 노인학대로 2회 이상 반복 신고된 노인 중 학대 우려가 있는 가정 160곳을 방문해 안전과 학대 피해 여부를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또 노인학대 대응체계 개선을 위해 서울경찰청·서울시·노인보호전문기관으로 이뤄진 실무협의체도 구성할 방침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노인 인구 증가로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둔 지금 노인학대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우려가 있다"며 "서울경찰청, 서울시 등 관련기관이 노인학대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실제 노인학대 신고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경찰청에 접수된 노인학대 신고는 2018년 1316건에서 2019년 1429건, 2020년 1800건으로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 또한 4월까지 790건이 접수돼 하루 평균 6.59건 꼴로 신고가 이뤄졌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노인학대 행위는 '친족에 의한 학대'가 98.3%로 가장 많았다. 세부적으로는 배우자가 46.9%, (손)자녀가 50.1%, 친척 1.3% 순으로 분류됐다. 이 중 사법처리된 학대 유형은 신체학대가 85.9%로 가장 많았고, 정서학대(8.4%)와 방임(0.4%)이 뒤를 이었다.
서울경찰청은 이번 합동점검과 별개로 15일부터 한 달 동안 노인학대 집중 신고기간을 운영할 에정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노인학대 신고가 들어온 경우 노인학대 피해자를 적극 보호하고, 가해자에 대해서는 엄중히 수사할 방침이다"고 강조했다.
장하연 서울경찰청장은 "자치경찰 시대를 맞아 '노인학대 예방'이라는 주제를 통해 경찰과 서울시, 유관기관이 상호 협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면서 "서울 시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치안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진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