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시중銀 추가로 실명계좌 터주나…숨죽인 코인거래소
입력 2021-06-07 17:42  | 수정 2021-06-07 20:56
오는 9월 가상화폐 거래소 사업자 신고를 앞두고 거래소들이 사활을 걸고 은행 잡기에 나서고 있다. 거래소들은 이번에 은행에서 실명 확인 입출금 계정을 받아 당국에 신고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은행 파트너를 잡지 못한 거래소들은 폐쇄가 불가피하다. 기존에 은행과 계약을 맺고 있는 거래소들은 재계약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은행과 부산은행 등이 추가적으로 가상화폐 거래소와 실명계좌 발급을 놓고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져 협상 성공 여부가 주목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4대 대형 가상화폐 거래소는 기존 실명 계좌 발급 계약을 맺은 은행들과 재계약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업비트는 케이뱅크, 빗썸과 코인원은 NH농협은행, 코빗이 신한은행과 각각 실명계좌 발급 계약을 맺고 있다. 각 은행은 거래소마다 실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새로 실명 계좌를 발급받을 거래소로는 고팍스와 한빗코 등 2곳이 거론된다. 고팍스는 현재 부산은행과 시중은행, 인터넷전문은행 등 약 3곳과 관련 논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고팍스는 거래액 기준 국내 5위로, 최근 미국 가상화폐 투자사 디지털커런시그룹(DCG)이 고팍스 2대 주주에 오르기도 했다. 한빗코는 거래액은 적지만, 업계에서 기술력 있는 거래소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은행도 최근 빗썸 등 가상화폐 거래소들을 만나 커스터디 사업과 실명 계좌 발급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소 입장에서 은행 실명 계좌 확보는 생존과 직결된다. 거래소들은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에 따라 9월 24일까지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사업자로 신고해야 한다. 특금법에서 요구하는 조건 중 하나가 은행 실명 확인 입출금 계좌 개설이다. 현재 정보보호관리체계(ISMS)를 획득한 거래소 20곳 중 실명 계좌를 발급받은 곳은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4대 거래소뿐이다.

중소형 거래소들은 실명 계좌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수적인 은행들이 자금 세탁 등 리스크를 지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은행마다 실명 계좌를 바라보는 입장이 엇갈린다. 예컨대 인터넷전문은행과 지방은행 등 중소형 은행 입장에서 거래소 제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고객 확보가 절실한 지방은행이나 수협·SC제일은행 등 중소형 은행은 적은 비용으로 수도권의 2030 고객을 끌어모을 수 있다. 업비트와 제휴한 케이뱅크가 성공 모델로 거론된다. 케이뱅크는 지난 4월 기준 고객 수가 537만명으로 불과 한 달 만에 146만명이나 늘었다. 2018~2020년 3년간 유치한 고객 수(157만명)와 맞먹는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지방은행과 중소형 은행들이 거래소 제휴에 큰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리스크 관리를 중시하는 대형 시중은행은 여전히 거래소 제휴에 보수적이다. 이미 넓은 고객층을 확보한 상황에서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에 이르는 수수료 비용을 얻으려 리스크를 감수하고 싶지 않아서다.
[이새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