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유권자 절반 "부동산 이해충돌, 국회의원·지자체의원부터 감시해야"
입력 2021-06-07 14:06  | 수정 2021-06-07 14:32

공직자 부동산 투기와 관련해 국민들은 국회의원, 지자체장·지방의회 의원을 먼저 감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참여연대 등에 따르면 국민들이 이해충돌 상황에 감시와 견제가 가장 필요하다고 꼽은 공직자는 국회의원(34.4%), 지자체장·지방의회의원(16.5%), 검사(15.9%), 행정부공무원(12.8%) 순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만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29~30일 진행됐다.
국회의원과 지차제장·지방의회의원의 택시개발지역 내 부동산 거래 여부를 전수조사하는 방안에도 찬성 의견(92%)이 반대(5.3%)를 압도했다. 내년 5월 시행되는 이해충돌방지법과 관련해서는 이해충돌 관련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90.6%)이 공개가 불필요하다는 의견(5.8%)을 크게 앞섰다. 지난 4월 제정된 이해충돌방지법은 국회의원 등 약 190만명의 공직자가 직무수행 과정에서 이해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족 등 사적 이해관계자 및 민간부분 활동내역을 신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시장 개입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았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 개입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는 응답은 48.5%로,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응답(46.6%)보다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부동산특별위원회(부동산특위)가 재산세 감면 상한선을 주택공시가격 6억원에서 9억원으로 높인 것에 대해선 찬성 의견(54.8%)이 반대(36.4%)보다 높았다. 반면 현재 52만 가구에 적용되는 종합부동산세 부과 대상을 상위 2%로 줄이는 방안에는 반대(51.1%)가 찬성(41.4)보다 많았다. 주택 수 보유에 한도를 두는 '주택소유상한제'에 대해서도 도입 찬성 의견(50.6%)이 반대(42.9%)보다 많았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부동산 투기를 잡는다고는 하지만 사실 불법 투기를 저지른 국회의원 등 고위직 공무원이 제대로 처벌 받은 적이 거의 없었으니 국민의 공분을 산 것"이라며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고위직이라면 당연히 더 엄격하게 전수조사 할 필요가 있고 차명 거래를 잡기 위해 이해충돌 정보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 주택 가격에 대해서는 하락해야 한다는 의견(60.5%)이 현재수준 유지(28.3%), 상승해야 한다(7.3%)보다 많았다.
[명지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