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신장 관련 기저질환 있으면 코로나 사망 위험 5배 높다…확진자 7590명 분석
입력 2021-06-07 10:46  | 수정 2021-06-07 21:02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은 코로나19 감염때 사망위험이 크게 상승할 수 있어 예방과 관리에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운영 서울시보라매병원 신장내과 이정표 교수와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호 교수 연구팀은 2020년 1월 20일부터 5월 15일까지 국내에서 코로나19 양성판정을 받은 남녀 7,590명중 누적 관찰기간 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 225명의 임상데이터를 통해 기저질환별 코로나19 사망위험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환자의 기저질환 유무가 사망률에 상당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 결과에서 대표적인 합병증인 고혈압과 당뇨병은 기저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보다 사망위험이 각각 1.5배, 1.8배가량 높았으며, 심부전증과 각종 암, 만성콩팥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사망위험이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에 매우 취약한 말기신장질환(end stage renal disease)을 가진 코로나19 환자는 사망위험이 무려 5배 이상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러 기저질환 중에서도 신장과 관련한 기저질환이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에 가장 큰 영향을 가진 것으로 연구진은 판단했다.
이정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당뇨나 고혈압으로 대표되는 기저질환이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그 중에서도 체내 대사폐기물을 여과하는 신장 기능이 저하돼 면역력이 낮은 신장질환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에 특히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김 호 교수는 "만성질환 관리가 어려운 취약계층은 기저질환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코로나19와 같은 대규모 감염병의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위해 이들의 만성질환이 개선될 수 있는 의료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국제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5월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