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연세사랑병원, '3세대 디자인' 인공관절로 개인맞춤형 수술
입력 2021-06-02 12:00 
고용곤 연세사랑병원장이 3세대 인공관절 수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요즘 운동하기 좋은 시기이다. 그러나 운동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무릎 통증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퇴행성관절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무릎 관절 사이의 연골이 노화나 외상 등 여러가지 이유로 닳아 없어지는 질환이다.
퇴행성관절염은 진행 단계에따라 초기, 중기, 말기로 구분된다. 초기와 중기에는 보존적 치료로 호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무릎 뼈가 서로 부딪히는 말기에는 인공관절 치환술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인공관절 치환술은 말 그대로 무릎 사이에 손상된 연골 대신 인공 구조물을 삽입해 관절의 기능을 회복하는 수술이다.
지난 1970년대 개발된 이 수술은 세대를 거듭하면서 인체에 '더' 들어맞도록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최근에는 하지 정렬을 더 맞추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여러 기술이 접목된 인공관절 수술이 등장했다.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은 '3D 시뮬레이션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에 디자인을 접목한 3세대 인공관절 수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연세사랑병원이 기존에 시행하던 '3D 시뮬레이션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은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 무릎을 구현하고, 무릎 모양에 맞는 개인 맞춤형 수술도구 PSI (Patient Specific Instrument)를 제작해 사용하는 게 특징이다. 절삭 부위를 정확히 알 수 있고, 하지 정렬이 사전에 계산됐기 때문에 수술 시간이 짧다.
연세사랑병원이 선보일 3세대 인공관절은 더 다양해진 옵션의 디자인이 있는 인공관절이다. 기존 인공관절에 비해 더 다양한 크기와 두께의 옵션을 제공한다. 여기에 PSI를 개발해 보다 더 개인에 맞는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보다 세밀하고 정교한 수술이 진행되면서 수술 후 환자 만족도 또한 올라갈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연세사랑병원이 지난 2016년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환자 맞춤형 수술도구를 사용한 환자는 하지정렬 정확도가 더 높고, 수술시간도 줄었다.
디자인이 접목된 3세대 인공관절은 해외에서는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대학병원 등을 제외하면 상용화되지 못했다. 연세사랑병원은 환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3세대 인공관절과 그에 맞는 PSI를 빠르게 상용화할 계획이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장은 "3세대 인공관절을 통해 보다 더 개인 맞춤화된 인공관절을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환자 만족도를 높이고 부작용 등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빨리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