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시사스페셜]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윤석열 정치 뛰어들면 국민들께 크게 혼나”
입력 2021-04-04 11:19  | 수정 2021-04-04 11:59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부동산 정책과 기조 바뀌어야”
1가구 1주택 재산세 인하 검토해야
부동산 정책, 수용성 감안해 추진했어야”
정책은 결과에 대한 책임, 자세나 태도에도 문제”
검찰, 수사 기소 나누는 게 1원칙”
윤석열 정치 뛰어들면 국민들께 크게 혼나”
검찰의 중립성 지지이지, 정치지지 아니다”
윤 전 총장 정치? 5년 뒤면 모를까”
현 대선주자 지지율, 큰 의미 없다”
후보 중요하지만 정당이 정신 차려야”
보궐 선거 후 정계개편 가능성”
국민들, 대통령 누구로 할까 본격적 고민 아직 안 해”
선거 후 개헌 공론화할 필요, 제도 변화 있어야”
정치는 당장의 권력 아닌 미래를 얘기해야”

■ 프로그램: MBN 정운갑의 집중분석 (시사스페셜)
■ 방송일 : 2021년 4월 4일 (일요일) 오전 10시
■ 진 행 : 정운갑 앵커
■ 출연자 :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기사 인용 시 ‘MBN 정운갑의 집중분석(시사스페셜)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길 바랍니다.

정운갑>정부 여당에 대한 국민들의 원성이 그 어느 때 보다 높습니다. LH 사태와 부동산 정책 실패에 따른 민심 이반이 큽니다. 집권당 최고위원으로서 부동산 정책의 실패에 대해서 처음 인정하고 공식 사과한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 김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김종민>예, 안녕하세요.

정운갑>요즘 선거 운동 계속 하고 계시지요?

김종민>예, 다니고 있습니다.

정운갑>서울 부산 보궐선거가 며칠 남지 않았는데, 선거 정망 어떻게 하는지요?

김종민>아무래도 여론조사 수치로 보여주고 있지만, 우리 민주당한테 어려운 선거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특히 LH 사태로 부동산과 관련된 불신, 불만 이런 것들이 일종의 약간 폭발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끝까지 최선을 다해서 한 번 저희가 반성하고 다시 한 번 잘해보겠다, 호소를 드리고 있습니다.

정운갑>민심이 돌아선 배경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겁니다. 김 최고위원이 집권 여당 안에서 처음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 사과한 바 있는데요. 무엇이 어디에서부터 잘못됐다고 보는지요?

김종민>부동산 정책이요.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부동산이라는 게 정책 하나 가지고 올라가고 내려가고 하는 문제가 아니거든요. 그런데 항상 이게 늘 공급, 실수요자를 위한 정책, 같이 가줘야 되거든요. 그런 점에서 약간 균형이 좀 부족했다는 점. 그리고 이제 전·월세 문제 같은 경우도 전·월세 상한제를 작년에 도입했단 말이죠. 이 정책 방향이 전 맞다고 봅니다. 그런데, 아무리 옳은 정책이라고 하더라도 변화를 하려면 이 현장에 있는 시장에 있는 수용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절차를 가지고, 수용성을 감안해서 해나가야 하는 데 가장 큰 문제였던 것이 전·월세 신고제가 아직 확립이 안 돼 있는 상황입니다.

정운갑>부동산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계셨던 건가요?

김종민>그렇죠.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정책 방향이 투기를 억제하는 방향이 잘못된 게 아니죠. 실수요자를 위한 정책도 정책이 없는 건 아닙니다. 문제는, 이런 정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폭등을 하고 있다는 거예요. 그렇다면, 우리 정책 가지고 좀 부족한 게 있구나, 문제가 있구나. 라고 비상을 걸었어야 해요. 저는 이 점에서 자세나 우리의 태도가 아주 문제가 있었다고 봅니다. 그러니까 정책 책임자들은 결과에 책임을 지는 거예요. 의도나 방향에 책임을 지는 게 아니고, 이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게 좀 부족했던 점, 이 점에 대해서 정말 국민들한테 사과를 드리고.

정운갑>정책과 함께 자세까지 지적했는데요.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온 예를 들면 종합부동산세라던가 양도소득세, 공시지가 인상, 임대차 3법 등의 정책에 대한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김종민>저는 정책도, 아니 정책 기조도 좀 바꿔야 하고요. 세부 정책에 대해서도 좀 미세 조정이 필요할 거라고 봅니다. 저는 방향이 옳아도 명분이 있어도 현장에 있는 현장에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야 이거 과도하다 이렇게 느끼면, 그 정책은 부담이 되는 거죠. 그래서 저는 지금 우리가 선진국과 목표를 맞춘다고 해서 한꺼번에 빠르게 올리는 게 이게 능사는 아니다. 그래서 저는 방향은 맞는 방향이라도,수용하는 사람들, 감당하는 사람들이 마음속으로 승복할 수 있게 만드는 노력. 그런 합의의 노력들을 최대한 충분히 만들어가는 게 필요하다. 모든 주택 세금을 올리는 게 아니고, 오히려 1가구 1주택 실수요자들은 재산세를 낮춰주는 것도 한 번 생각을 해봐야 해요. 그래서 세제를 저는 강화하더라도 이런 기본 명분과 원칙을 가지고 수용성을 높이는 설계를 한 번 고민해볼 필요가 있지 않겠냐. 우리가 예를 들어서 한 10% 올려야 된다. 그러면 내년에 10% 올리지 말고, 한 3년, 아니면 5년에 걸쳐서 2%씩 단계적으로 올리자. 그 안에, 선택을 좀 하셔라. 이런 방향으로 뭔가 좀 정책 설계를 꼼꼼하게 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정운갑>김 의원은 그동안 법사위 위원으로서 검찰 개혁에 앞장 서왔잖아요. 검찰 개혁 방향은 맞게 가고 있는 겁니까?

김종민>검찰 개혁 방향이 뭐냐면요. 모든 권력은 분산해야 된다. 권력은 집중하면 안 된다. 이게 검찰 개혁의 방향이에요. 우리가 국민주권이라고 이야기하잖아요.

정운갑>검찰에서 수사권을 아예 떼어내는 것도 한때 이야기가 나왔다가 주춤해진 상황인데요.

김종민>주춤한 건 아니고요. 아까 국민주권 말씀을 드렸는데, 국민이 권력의 주인이잖아요. 그래서 무조건 권력은 나눠야 됩니다. 그런데, 검찰이 지금 수사권, 기소권, 그다음에 영장 청구권 다 권한을 독점하고 있다시피 하고 있어요. 이걸 나누지 않으면, 검찰이 권력의 주인이 됩니다. 수사하고 기소를 나누는 게 제 1번 원칙입니다. 지금 이걸 놔두고서는 검찰이 수사를 하는 족족 국민들이 문제 제기를 하게 생겼어요. 수사가 진행 안 됩니다, 앞으로도. 그래서 욕심 부릴 필요가 없어요. 검찰이 갖고 있다고 되는 게 아닙니다.

정운갑>정치적 논란도 있을 수 있다?

김종민>그렇죠. 그 사정권에 들어와 있습니다. 어차피 수사, 기소는 분리해야 합니다. 이게 글로벌 스탠더드예요. 수사를 분리하되, 그 수사 기관을 검찰이 법적 어떤 전문성을 가지고 좀 감시·감독 하자, 통제하자. 이런 방식으로 빨리 가야 된다는 거죠.


#MBN #MBN시사스페셜 #정운갑앵커 #김종민더불어민주당최고위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