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6곳 선정했지만…"공공참여 반대" 확산에 용두사미 되나
입력 2021-03-30 19:20  | 수정 2021-03-30 21:00
【 앵커멘트 】
민간과 공공이 함께 추진하는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16곳이 추가 선정됐는데, 그동안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되던 곳들 이름이 없었습니다.
주민 반대가 주요 이유라고 하는데요.
자칫 공공재개발이 용두사미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습니다.
보도에 장명훈 기자입니다.


【 기자 】
2차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지정된 서울 연희동 일대입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5만㎡에 달하는 이 구역에 1천여 세대를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주민들은 지지부진했던 재개발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며 반기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박희준 / 연희동 721-6 구역 주민 대표
- "저희는 대체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고. 이쪽이 구릉지고 사업성이 안 나오던 데다 보니까…. 종 상향이나 이런 거 기대하고…."

이곳을 비롯해 2차 후보지로 지정된 지역은 상계3과 성북1, 장위8·9 등 서울시내 16곳.

당초 28곳이 후보지에 올랐지만, 한남1, 아현1구역 등 노른자위 땅 상당수는 빠졌습니다.

사업성이 민간 재개발보다 크게 높지 않고, LH 땅 투기로 공공참여에 대한 불신이 커진 탓에 주민들 사이에 반대 여론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실제 사업을 신청했던 일부 구역에선 공공재개발에 반대하는 현수막도 걸렸습니다.

▶ 인터뷰 : 원용국 / 한남1구역 공공재개발 반대위원장
- "소유주들은 지정이 될까봐 걱정하고 있었습니다. (여기는)서울시에서 1호 관광특구입니다. 개발을 한다고 해도 남산 고도미관지구이기 때문에 소유주들한테 도움이 전혀 안 되고…."

특히, 서울시장 선거 이후 민간 재개발 추진 가능성을 높게 보며 공공재개발에서 이탈하는 사업장이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MBN뉴스 장명훈입니다. [ jmh07@mbn.co.kr ]

영상취재 : 김현석 기자
영상편집 : 유수진

#MBN #공공재개발 #2차후보지 #LH #장명훈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