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양범센터장의 생애설계와 생애재무설계] 목표소득 확보방안과 계산방법(22)
입력 2021-03-30 10:48 
지난 글에서는 현금흐름표와 자산부채 상태표를 기반으로 하여 목표기간의 목표지출(소비)금액과 목표소득 금액 계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목표지출과 목표소득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목표소득 확보 방안은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생활영역별 재무목표 달성방안 마련은 생활영역별 소멸성 지출ㆍ저축성 지출 구분 없이 일상적인 지출(월/년) 예산으로 충당이 어려운 큰 금액의 지출을 특정 지출로 구분하고, 일반생활비(월/년)예산으로 충당 가능한 일상적인 지출을 일반생활비 지출로 구분하여 목표 달성 가능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목표 달성방안을 마련한다.
목표지출을 충당하기 위한 목표소득의 확보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지출 (재)조정: (가) 기본생활비 절약, (나) 7대 생활영역 지출비중 조절, (다) 자녀 지원 원칙 확립, (라) 장기요양, 연명치료 등에 대한 원칙 확립, (마) 부채정리, (바) 절세, (사) 위험대비 보험 가입 및 조정 (아) 기타 방안. 이 같은 지출조정은 사실상 직접적인 목표소득 확보 방안이 아니라 목표지출에 목표소득액을 맞추는 최종적이고 간접적 확보 방안이라 할 수 있다.
2) 근로ㆍ사업소득 증대: (가) 계속근로(취업/창업)/승진/이직/전직, (나) 부업(본인/배우자), (다) 은퇴 후 취ㆍ창업 등. 이 같은 방안은 경력설계를 통해 확보되어야 할 사항으로 경력설계에 밀접하게 연계시켜야 한다.
3) 자산운용: (가) 공적 및 사적연금 활용과 기타 방안(금융지식 습득에 의한 투자 운영의 효과성 증대, 상속자산 활용 등) (나) 저축과 투자, (다) 주택 및 농지연금 활용, (라) 기타 방안(금융지식 습득에 의한 투자 운영의 효과성 증대), (마) 세금관리, (바) 상속/증여 관리. 이 같은 자산운용은 현실적으로 가장 쉽게 효과적으로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고, 이 중 저축과 투자는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방안이다.
목표지출 및 목표소득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목표기간 중 매년 목표지출과 목표소득이 상당히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목표기간 평균을 추정하여 평균에 목표기간을 곱하여 목표기간의 전체지출과 전체소득을 계산하는 것은 정확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번거롭더라도 매 연도별로 지출과 소득을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같이 연도별로 계산하면 목표연도의 지출과 소득도 자연스럽게 계산된다. 그리고 목표기간 전체지출과 전체소득도 매 연도별 액수를 합산하면 된다.
생애재무목표 설정 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재무목표는 최종-대-중-소의 목표체계에 따라 목표기간별(현재↔소 목표, 소↔중 목표, 중↔대 목표, 대↔최종 목표) 목표와 각 목표시점의 지출목표와 목표소득을 설정하고 부족자금 확보 방안별 목표액도 설정해야 한다. 또한 목표시점 현재의 추정 현금흐름표와 추정 자산부채상태표를 작성하여 재무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향후 10년 목표에도 목표기간과 목표시점의 지출목표, 소득목표 및 목표소득 확보 방안별 소득액을 설정하고, 목표시점(10년 후)의 추정 재무상태표를 작성해야 한다. 향후 10년 목표에는 1년 단위로 상세한 목표도 설정해야 한다. 재무설계의 시작시기(연령)에 따라 향후 10년 목표에는 대-중-소 목표의 일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매일경제 생애설계센터 정양범 센터장][ⓒ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