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 경기도, 용인 투기의혹 前 팀장에 전관예우?
입력 2021-03-26 12:20  | 수정 2021-03-26 13:12
경기도청 전경 [사진 = 경기도]

경기도가 가족명의 회사로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인근 땅을 매입해 투기의혹이 불거진 경기도 전 투자유치 팀장 회사에 서비스산업 유치 업무를 위탁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 전 팀장 A씨가 설립한 디씨티개발은 업력이 5개월에 불과한 신생사인데다 뚜렷한 실적도 없어 '전관예우'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경기도는 A씨 투기 의혹이 불거지자 디씨티개발에 사업 위탁 취소를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 투자진흥과는 지난 8일 한미회계법인(미국), 한러비즈니스협의회(러시아), 하나금융투자(중국), 한독상공회의소(유럽), 케이제이글로벌링크(일본),디씨티개발(서비스산업) 등 6곳을 국내·외 투자유치 활동 협력 기관으로 위탁했다. 디씨티개발은 A씨가 대표인 회사로 경기도로부터 1500만 원을 받고 서비스산업 유치 활동을 벌이기로 했다.

하지만 디씨티개발은 작년 10월 설립된 신생사인데다 관련 산업 유치 경험이 많지 않다. 본점 소재지로 등록한 용인시 상현동 건물 1012호는 다른 회사가 입점해 있어 페이퍼 컴퍼니 의혹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디씨티개발이 내세울 간판은 대표인 A씨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경기도에서 투자유치 업무를 담당하며 맺은 인맥과 네트워크일 수 밖에 없다.
특히 A씨가 근무했던 친정 부서에서 사업을 발주하면서 이러한 배경을 가진 A씨를 직접 접촉한 것으로 확인돼 '전관예우'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이런 의혹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서비스산업 유치 컨설팅 사업을 하는 업체가 많지 않아 디씨티개발 포함 총 2개 업체를 접촉했다"면서 "이중 한 곳은 포기 의사를 밝혀 디씨티개발을 수탁자로 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관련 시장이 크지 않아 무관심한데다 1500만원을 가지고 하겠다는 업체가 없는 상황이었다"면서 "전화를 돌리다 디씨티개발까지 하게됐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경기도가 A씨 투기 의혹을 사전에 걸러내기 힘든 상황이지만 A씨에게 관련 사업을 맡기기로 한 시점이 LH발 투기 의혹이 불거진 때여서 섬세한 심사가 필요했다는 지적이다.
A씨가 서비스 산업 유치 과정에서 취득한 정보를 사적으로 이용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A씨는 내부 정보 이용 혐의로 피고발자가 돼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 A씨 부인이 대표로 등록된 호연산업은 2018년 10월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독성리 일대 대지와 건물 1559㎡(470평)를 5억 원에 매입했다. 경기도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를 공식화한 2019년 2월 보다 4개월 앞선 시점이다. 경기도는 A씨가 2018년 1월 SK건설이 용인시에 산업단지 물량배정을 요청하는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사실을 1월 16일 경기도에 최초 보고 한 사실을 근거로 "이 과정에서 A씨가 해당 도면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부패방지법 위반 혐의로 지난 23일 경찰에 고발했다.
A씨가 경기도 팀장 시절 취득한 내부 정보로 투기를 한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기 포천시도 유탄을 맞았다.
포천시는 지난 1월 호반산업 컨소시엄과 '고모리에 산업단지 조성 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고모리에 산업단지는 1000억원을 들여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 일대 26만㎡에 식품, 문화 등을 결합한 복합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호반산업·삼원산업개발·교보증권·디씨티개발이 컨소시엄 사업자로 참여하고 있다. A씨는 지난해 4월 고모리에 산단을 조성키로 했던 한샘개발이 사업을 포기하자 재빨리 호반산업에 사업을 제안해 협약을 이끌어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A씨는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는 디씨티개발 대표, 삼원산업개발 감사로 등재돼 있다. 포천시 관계자는 "A씨가 디씨티개발 대표인지는 알았지만 삼원산업 감사로 등재돼 있는지는 최근에 알았다"면서 "전날 호반산업컨소시엄에서 디씨티개발을 빼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