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꽁꽁 얼어붙은 '고용 한파'…취준생은 역대 최다 '85만 명'
입력 2021-03-21 09:29  | 수정 2021-03-28 10:05

지난달 취업준비자가 85만3천명으로 역대 최다치를 갈아치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년 새 20∼30대 청년 '취준생'이 7만명 넘게 늘어난 영향입니다.

오늘(21일) 통계청 고용동향과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자는 85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8만3천명(10.8%) 늘었습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래 2월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취업준비자는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을 위해 학원·기관 등에서 강의를 수강하거나 기타 취업 준비를 한 사람을 뜻합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58만9천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30대가 17만1천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달 20∼30대 청년 취업준비자는 총 76만명으로 전체 취업준비자의 89%를 차지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0대 취업준비자가 53만9천명에서 58만9천명으로 5만명(9.3%) 증가했습니다.

30대 취업준비자는 14만7천명에서 17만1천명으로 2만4천명(16.3%) 늘었습니다.

지난달 20∼30대에서만 7만4천명의 취업준비자가 늘어난 셈입니다.

성별로는 남성 취업준비자가 47만2천명, 여성이 38만1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0∼30대만 보면 여성 20대 취업준비자가 1년 새 3만5천명이나 증가했습니다. 여성 30대 취업준비자는 6천명 늘었습니다.

남성 20대 취업준비자는 1만5천명, 남성 30대 취업준비자는 1만8천명 각각 늘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경기가 악화하면서 고용 상황이 급격히 얼어붙은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아무래도 코로나 상황으로 채용이 연기되거나, 채용 절차도 정기 채용에서 상시 채용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보니 취업 준비를 하시는 분들이 좀 늘어난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고용 한파'는 앞으로도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지난달 취업자 수 감소 폭이 좀 줄긴 했지만, 감소세가 이어진 점으로 볼 때 고용시장은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평가하는 게 맞는다"며 "더구나 고용은 후행 지표이기 때문에 향후 코로나가 진정돼서 경기가 개선되더라도 당분간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 중 63.6%는 올해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을 세우지 못했거나 1명도 채용하지 않을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기업 10곳 중 6곳은 상반기 채용이 아예 없거나 미정인 셈입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