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모레부터 65세 이상 AZ백신 접종…문대통령, 첫날 맞는다
입력 2021-03-21 09:25  | 수정 2021-03-28 10:05

만 65세 이상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등의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모레(23일) 시작됩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오는 6월 영국에서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만 65세 이상 접종 첫날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습니다. 문 대통령의 공개 접종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일각의 불안감이 누그러질지 주목됩니다.

또 2분기에는 노인시설과 장애인 시설의 입소자 및 종사자, 65세 이상 어르신 등 코로나19에 취약한 고위험군의 접종이 본격화됩니다.

오늘(21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내 만 65세 이상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37만6천724명이 모레(23일)부터 순차적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습니다.


해당 시설은 요양·정신병원(20만6천443명), 노인요양시설(16만7천357명), 정신요양·재활시설(2천924명) 등입니다.

요양병원은 모레(23일), 요양시설은 30일부터 접종이 각각 이뤄집니다.

요양병원에서는 상근 의사가 예진 후 자체적으로 접종을 하고, 요양시설의 경우 보건소 접종팀 등이 시설을 방문하거나 대상자가 직접 보건소를 찾아 백신을 맞습니다.

정부는 앞서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해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임상 자료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이들에 대한 접종을 보류하고 65세 미만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접종을 진행해 왔습니다.

그러다 영국·스코틀랜드 등의 연구 결과에서 고령층에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효과가 있다는 결론이 나오자 접종 시행으로 선회했습니다.

요양병원·요양시설 내 65세 이상 입소자·종사자의 2차 접종은 오는 6월 첫째 주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1∼2차 접종 간격 기준을 10주로 설정한 데 따른 것입니다.


내달부터는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한 노인 시설, 장애인 시설, 결핵 환자·한센인 거주 시설, 노숙인 시설 등에 있는 입소자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접종이 시작됩니다.

집단 감염과 중증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 접종을 통해 이들을 보호하고 방역 부담을 덜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입니다.

이외에 65세 이상 어르신과 특수교육 종사자 및 보건 교사, 경찰, 군인, 소방, 항공 승무원 등 총 1천150만명의 접종이 2분기에 이뤄질 예정입니다.

한편 청와대는 앞서 지난 15일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모레(23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다고 밝혔습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오는 6월 영국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 참석, 즉 필수목적 출국을 위한 것"이라면서 "질병관리청의 예방 접종 절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우선 접종하는 것은 일각의 안정성, 효과성 논란을 불식시키고 솔선수범하겠다는 의미"라고 강조했습니다.

올해 문 대통령은 만 68세, 김 여사는 만 66세입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