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바이든, 아시아계 직접 면담..."증오·인종주의는 추악한 독"
입력 2021-03-20 09:32  | 수정 2021-03-27 10:05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애틀랜타 총격 사건 사흘 만인 현지시간으로 어제(19일) 현지를 직접 찾아 아시아계 지도자들을 면담하고 연설을 통해 아시아계에 대한 폭력을 규탄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조지아주 애틀랜타 에모리대에서 연설에 나서 "아시아계 지도자들을 만나는 기회를 가졌고 (나온 이야기들이) 듣기에 가슴이 찢어지는 것이었다"고 입을 열었습니다.

그는 "(총격범의) 동기가 무엇이든 간에 우리는 이걸 안다. 너무 많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걱정하면서 거리를 걸어간다. 그들은 공격당하고 비난당하고 희생양이 되고 괴롭힘을 당했다. 언어적·물리적 공격을 당하고 살해당했다"면서 아시아계 여성들은 남성보다 갑절로 고통받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증오와 폭력은 보이는 곳에 숨어있고 침묵과 자주 만난다. 이는 우리 역사 내내 사실이었다"면서 "하지만 이건 바뀌어야 한다. 우리는 목소리를 내고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미국은 증오의 피난처가 될 수 없다. 중단돼야 한다. 우리 모두에게 달려있다. 우리 모두가 함께 중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증오와 인종주의에 대해 미국을 오랫동안 따라다니고 괴롭힌 '추악한 독'이라고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첫 여성·흑인·아시아계 부통령인 카멀라 해리스도 짧은 연설을 통해 "인종주의는 미국에 실재하고 언제나 그랬다. 외국인 혐오는 미국에 실재하고 언제나 그랬다. 성차별도 마찬가지"라고 비판했습니다.

해리스 부통령은 이어 "대통령과 나는 침묵하지 않을 것이다. 언제나 폭력에, 증오범죄에, 차별에 맞서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 전 아시아계 지도자들과 비공개로 만나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차별과 폭력의 실태를 청취했습니다.

면담에 참석한 조지아주의 마빈 림 하원의원은 "사람들이 느끼는 슬픔, 두려움, 그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면서 "긍정적인 느낌이 드는 논의였다"고 말했다고 AP통신은 전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날 조지아주 방문은 예정돼 있었으나 사흘 전인 16일 애틀랜타와 근교의 스파 등 세곳에서 총격으로 한인 여성 4명을 포함해 아시아계 6명 등 8명이 숨지는 참사가 발생하면서 아시아계 지도자들과의 면담 일정이 잡혔습니다. 원래는 대규모 경기부양법 통과를 성과로 내세우는 유세가 잡혔다가 취소된 것입니다.

아시아계를 다독이기 위한 바이든 대통령의 행보에는 미국 내 아시아계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고 특히 조지아주는 아시아계의 표심이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경합주라는 점이 반영됐을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분석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